直系譜

나의 뿌리: 한산이(韓山李)씨29世 후손

黃薔 2020. 1. 19. 15:50
반응형

稼亭先祖 遺訓: 我之子孫 百代至親

아지자손 백대지친(我之子孫 百代至親): 나의 자손들이여 백대가 지나도록 친하게 지내라!

 

[Version 1: 나의 뿌리: 한산이(韓山李)씨29世 인재공(麟齋公)22世-광목공(光牧公)21世-안소공(安昭公)19世-직재공(直哉公)18世-회승지공(澮承旨公)15-이사목공 (李思牧)10世 후손]

 

(1世)   시조 이윤경 (李允卿), 호장공. 

[조선식민사관 정립을 위한 공작으로 제작 날조한 묘지에 관련된 전설] "고려시대에 한산이씨 시조 이윤경(李允卿)은 몹시 가난하여 고을의 관청에서 심부름을 하며 근근히 살았다. 이윤경(李允卿)은 어느날 관가의 현감이 앉아있는 마루에 널빤지가 매년 조금씩 썩어내려가는 것을 발견하고 습기도 없는 집에 마룻바닥이 녹아내리는 것은 분명히 명당의 지기(地氣)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아들 이인간에게 자기가 죽으면 그곳에 몰래 묻어달라고 유언을 했다. 유언에따라 어둠을 틈다 관가의 마룻방 밑으로 뻗쳐맺힌 혈장에다 그의 시신을 암장했다. 그 명당에 발복으로 이곡(李穀), 이색(李穡)과 같은 명인을냈다. 이곡(李穀)과 이색(李穡)이 고려말 원나라에서 치르는 과거시험에 장원급제했다. 이곡(李穀)이 득세할 무렵 관가의 마루방밑에 그의 선조 이윤경(李允卿)이 암장된 사실이 알려졌다. 당시의 법에는 관가영역은 금장지역으로 되어있어 이곡(李穀)은 처벌을 받아야 할 형편이었으나 그곳에 암장하고 그 명당의 효험으로 자신과 같은 인재가 나와 나라에 공헌하고 있는터라 임금은 선조의 무덤을 옮기는것보다 차라리 관가를 옮겨 달라는 이곡(李穀)의 상소를 받아들였다. 자신의 뜻이 받아들여지자 이곡(李穀)은 자비를 들여 관가를 옮겼다. 그것이 지금의 한산면사무소 자리라고 한다. 현재 옛 관가 자리에 잘모셔져 있는 이윤경(李允卿)의 묘 비석에는 (고려호장 이공지묘 高麗戶長 李公之墓)라고 새겨져 있다." 

이것은 조선정신을 말살하고 한산이씨의 절개를 왜곡시키려던 조선사 편수회의 일본인 사학자 이마니시 류(今西龍; 금서룡, 1875년 ~ 1932년) 사(조선식민사관기여학자로 친일사학자 이병도가 이마니시의 수사관보를 지냈다)가 1925년에 총독부제출한 한 고적답사 보고서에 기록된 내용이다. 말이 되지 않는 것이 고려호장(高麗戶長)은 마을의 우두머리로 그 마을의 대지주의 역활을 하는 자리인데 매우 가난하여 근근히 살아간다는 가설 부터 잘못된 기술이다. 단군조선의 사실의 역사를 허구의 단군신화로 변조한 이마니시의 수법의 판박이라 하겠다.  

이윤경(李允卿)의  묘소와 묘비

(2)   1 이인간 (李仁幹), 정조호장. 금석문 '경선사금구(景禪寺禁口)'에는 '고려국(高麗國) 용령(龍領) 대정(隊正) 이인간(李仁幹)이 동량(棟梁)이 되었다'고 나온다. 슬하에 장남 충진(忠進)과 차남 효진(孝進)을 두었다.

 

(3)   2 이효진 (李孝進)진사(進士) 봉헌대부 비서랑(奉憲大夫 秘書郞) , 2남중 차남.

 

(4)   3 이창세 (李昌世)봉익대부 판도판서(奉翊大夫 判都判書), 2남중 차남.

 

(5)   4 이자성 (李自成 ~1310년)찬성공(贊成公) 고려때에 진사 시험에 합격하고 전북에서 정의대부 정읍감무(正議大夫 井邑監務)를 지내며 정읍 백성에게 선정을 베풀고 어려움을 자신의 일처럼 돌보니 그 덕성과 명성이 원나라에까지 알려지게 되었다. 1310년 고려 충선왕 때 젊은 나이로 작고 하여 원나라에서는 봉훈대부 비서감승(奉訓大夫 秘書監承)으로 증직되고 고려조에서는 광정대부 도첨의찬성사(光政大夫 都僉議贊成事)에 추증되었다. 부인 흥례이씨(興禮李氏)는 고려조에서 삼한국대부인(三韓國 大夫人)으로, 원나라에서는 요양현군으로 추봉된 어질고 현명하신 분이었다. 찬성공이 작고 한 후 40년간 홀로 아들과 손자를 극진히 보살피고 잘 가르쳤다. 슬하에 세아들 배(培), 축(蓄), 곡(穀)을 두었다. 2남중 차남.

 

(6)   5 이 곡 (李 穀, 1298년~1351년)은  고려 충숙왕 때 원(元)나라 과거(科擧)에 급제하여 원나라 한림 국사원검열(翰林 國史院檢閱)을 지냈고 충목왕 때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과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에 올라 한산군(韓山君)에 봉(封)해졌다 고려의 꽃다운 처녀들이 원나라로 끌려가는 참상을 보고 원제(元帝)에게 상소를 올려 공녀를 데려오는 일을 그만두게 한 의로운 문신이다. 자는 중보(仲父), 호는 가정(稼亭),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이제현과 함께 편년강목을 편찬하고 고려왕의 실록 편찬도 도왔다. 그의 작품으로 문집 가정집이 있다. 주요작품은 차마설과 죽부인전이 있다. 부인 함창 김씨(咸昌 金氏), 이자성 (李自成) 3남중 3남

이곡이 여주에서 귀양살이 할 때의 이야기다. 당시 원나라에서는 고려의 동녀들을 마구 징발하여 갔기에 고려인들로부터 원성이 높았었는데 이곡이 원나라 황제에게 고하여 동녀차출을 금지시켰다.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원나라 관리들이 고려에 압력을 넣었고 압력을 못이긴 이곡은 어쩔 수 없이 원주 지내촌(지금의 북내면 가정리)으로 귀양을 오게 되었다. 어느 여름 갑작스런 폭우에 금당천(金堂川)이 범람하였는데 이상하게도 금당천 한복판을 중심으로 여흥 쪽으로는 홍수가 넘쳐나고 강원도 쪽은 물이 얕아 낚시하기에 좋을 정도의 여울이 졌다. 이즈음 개성으로부터 하루를 사이에 두고 두 패의 군사들이 이곡을 찾아 여흥으로 내려오고 있었다. 먼저 내려온 군사들은 이곡을 억류하여 멀리 영해로 귀양지를 옮기게 하라는 명을 받고 오는 군사들이요, 뒤에 내려온 군사들은 귀양지를 옮기지 말고 석방하여 대궐로 모셔오라는 새로운 명을 받고 온 군사들이었다. 먼저 온 군사들은 홍수로 인해 금당천을 건너지 못하였고 하루 뒤에 도착한 군사들은 물이 빠진 금당천을 건너 이곡을 개성으로 모셔갔다. 이곡이 머물렀던 북내면 가정리(稼亭里)의 지명이 이곡의 호에서 유래되었다.

가정 이곡(李穀)의 묘소와 묘비 (서천 기산면 광암리)

(7)   6(중시조 한산부원군, 0代) 이 색 (李 穡, 1328년~1396년 경상북도 영덕군출생)은 고려 말기의 문신, 정치인, 유학자. 자는 영숙(潁叔), 호는 목은(牧隱), 시호는 문정(文靖). 성리학을 조선에 소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성리학을 새로운 사회의 개혁, 지향점으로 지목하였다. 이제현의 제자이고 정도전, 유창 등의 스승으로 역성 혁명파와 절의파를 배출했다. 이성계 일파의 역성혁명에 협조하지 않다가 의문의 최후를 맞이한다. 고려 말 삼은(三隱)의 한 사람이다. 외아들. [http://ko.wikipedia.org/wiki/이색]

중시조 목은 이색

(8)   7(목은2세,牧隱1代孫인재(麟齋이종학 (李鍾學, 1361년공민왕10~1392태조1, 진천 백원서원, 서천 문헌서원) 자는 중문(仲文), 호는 인재(麟齋). 1374년(공민왕 23)성균시에 합격하고, 1376년(우왕 2) 문과에 동진사(同進士)로 급제하여 장흥고사(長興庫使)에 제수.  관직이 밀직사지신사(密直司知申事)에 이르렀다. 1388년 우대언(右代言)으로 요동정벌군이 출정하기 전 조병육정신(助兵六丁神:군사를 陰助하는 6정신)에게 초례(醮禮)를 행하였다. 창왕 즉위 직후 성균시 관장, 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가 되었다.  1392년 정몽주(鄭夢周)가 살해된 뒤 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탄핵을 받아 함창으로 유배. 조선창업후 정도전(鄭道傳), 손흥종(孫興宗) 등이 장사현(長沙縣)으로 옮기는 도중 무촌역(茂村驛)에서 살해. 저서로는 《인재유고》가 있다.  부인 양성이씨(陽城李氏), 3남중 차남인재선생 년보고

인재유고

(9)   8(목은3세,牧隱2代孫 광목공(光牧公) 이숙야 (李叔野 묘소: 고양시 덕양구 성사동 월하능마을) 인재공의 6남1녀중 장남이다. 부인 강화봉씨(江華奉氏), 광주목사(光州牧使, 정3품). 

우암 송시열이 지은 [광주 목사공 휘 숙야묘표] 승정 횡예엄무년 (1862년)중춘에 은진 송시열 지음. "우리나라가 개국하고 나서 고려조의 대가댁 자손 중에 어질고 뛰어난 자를 뽑아 등용하니, 공이 문보에 적을 두지 않고 사헌부, 사간원을 차례로 거처광주 목사의 벼슬에 이르렀다. 부인은 봉씨이니, 합장 하였다. 지금 10대손인 안사 수언이 추모하여 묘석을 세웠으나 워낙 먼 조상이라 자세한 사적을 얻지 못하였다. 공은 본관이 한산이니 위로 가정, 목은, 인재 세분이 증조부, 조부, 부 이고 아래로 감사인 축, 참찬인 훈, 의정인 유청이 아들, 손자, 증손자이다. 그후로는 더욱 번창하여 명공, 현재가 이어 나왔으니 선조를 받들어 후손에게 물려준 공의 덕을 징험할수 있으리라. 공은 인재공의 유언에 따라 벼슬을 추구하지 않았다. 그렇지 않았더라면 선대의 업적을 이어받아 능히 왕자(王者)의 길을 빛냈을 것인데, 겨우 한 고을의 목사로 국한되었으니 애석한 일이다. 그러나 화관을 출입함에 이미 명성을 아루어 더욱 빛남이 있었으니 사람들이 한산이씨에 어진 사람이 많다고 말하는 것은 결코 헛말이 아니다. 아아! 여기에 있으나 저기에 있으나 언제나 기리는것은 진실로 공의 어짐이요, 나라가 망함에도 온전하여 간택에 나가서 관직에 있는 것은 성조의 충후함에더욱 느낌이 있으리라."

광목공(光牧公)  이숙야 李叔野 묘소:

(10) 9(목은4세,牧隱3代孫) 망월암공 (望越庵公)  축 (李 蓄, 1402년태종2년~1473성종4, 묘소: 고양시 덕양구 도내동 은지자는 윤보(甫), 1417년, 16세에 계성전직 제수. 사선주부 거쳐 광주판관, 사헌부감찰, 호조좌랑 및 정랑, 전농시소윤, 사헌부장령, 지사간원사, 판선공감사, 봉상시사,첨지중추부사 겸 지병조사, 이조참의1453년(단종1) 황해도 관찰사, 계유정난을 일으키고 수양대군이 정권을 잡으며 정세가 혼란해지자, 이 해 9월에 벼슬을 사직하고 경기도 고양으로 낙향. 3년 후인 1456(세조4)년 6월 전 집현전 학자들 성삼문, 박팽년, 이개, 하위지, 유성원, 유응부가 주동이 되어 단종복위운동 실패 (사육신의 난), 이 때 주동인물 6촌동생 휘 개 백옥헌공, 그리고 그와 뜻을 함께 했던 6촌동생 휘 유기 도총진무공이 비참하게 죽음을 당하고, 그 가족들이 멸문의 화를 당함. 이 후로는 공은 벼슬에 완전 뜻을 버리고 고양에서 여생을 보냄. 고양에 낙향해 내려 왔을 때에 연못을 파고 숨어 산다는 뜻으로 은지라 명. 1473년(성종4)에 72세의 나이로 서거. 공의 후손들이 그 후 경기도 고양시 도내동에 주거하며 맥을 잇고 집성촌을 이룸. 공의 아드님 휘 훈 안소공, 손자 휘 유청 공편공, 증손자 휘 언호 감사공이 모두 크게 출세하는데, 안소공은 효령대군의 사위로서 벼슬은 오위도총부도총관을 거쳐 의정부 좌참찬에 이르렀고, 공편공은 벼슬이 좌의정에 이르러 기로소에 들어갔으며, 감사공은 홍문관 직제학-대사간을 거쳐 전라감사에 이르렀다. 이후 축은 공주(公州) 동학사 숙모전(肅慕殿) 에 생육신(生六臣) 과 더불어 배향 되었다. 이숙야의 1남2녀중 외아들【태백산사고본】 1책 2권 16장 B면【영인본】 6책 524면【분류】 *외교-명(明) / *외교-야(野) / *무역(貿易) / *왕실(王室) / *어문학(語文學)

망월암공 ( 望越庵公) 이  축 (李 蓄)

(11) 10(목은5세,牧隱4代孫안소공(安昭) 이 훈 (李 塤, 1429세종11~1481성종12, 은지 불천위 사당). 청백리문신. 초명은 서(墅). 자는 화백(和伯), 도옹(賭翁).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사위. 1439년(세종21) 11세나이로 관직에 나감. 정3품 제용감•군자감의 판사를 거쳐 판전농시사가 되고, 1460년 공조참의, 1462년 한성부윤•형조참의를 역임.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가 함경도에서 난을 일으키자 토평대장이 되어 적의 진로을 차단. 1468년(세조14) 경기관찰사, 한성판윤 역임. 1471년(성종 2) 성종 즉위에 공이 크다고 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4등에 책록되고 한성군(韓城君)에 봉하여졌다. 오위도총부도총관을 거쳐 의정부좌참찬에 이르렀다. 시호는 안소(安昭)이다. 이축의 외아들

안소공(安昭公 )  이 훈 (李 塤)

(12) 11(목은6세,牧隱5代孫공편공(恭編) 이유청 (李惟淸, 1459세조5~1531중종26). 문신. 자는 직재(直哉). 1486년(성종 17)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표연말(表沿沫), 유숭조(柳崇祖) 등과 사유(師儒)로 선발되었다. 1491년 지평이 되고 1493년 장령에 승진하였다. 1494년 연산군이 즉위한 뒤 다시 지평으로 강등되었다가 1497년(연산군 3)집의에 올랐다. 1498년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온건하게 처리하려다가 배척되어 영서도찰방(迎曙道察訪)으로 좌천되었다. 1504년 갑자사화가 일어나자 다시 연루되어 장(杖)100을 받고 직첩이 환수되었으며 관노(官奴)가 되었다. 중종반정으로 정권이 바뀌자 1506년(중종 1) 사헌부집의로 복직되고, 정난공신(定難功臣)2등에 책록되었다. 이듬해 대사헌 한성부좌윤을 역임하고, 1511년 황해도 관찰사, 이어서 1513년에 경기도 관찰사가 되어 선정을 폈다. 1517년 다시 대사헌이 되었는데, 1519년 남곤(南袞), 심정(沈貞) 등이 기묘사화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 등을 몰아내는 데 가담하여 공을 세워 우의정이 되고 한원군(韓原君)에 봉하여졌다. 1521년 등극사(登極使)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뒤에 좌의정이 되었다가 기로소에 들어갔다. 시호는 공편(恭編)이다. 한산이문이 조선조에 배출한 상신 4인(14세-이산해 李山海 영의정 아성부원군, 21세-이사관 李思觀 좌의정 효정공, 23세-이경재 李景在 영의정 문간공)중 1명. 이훈의 2남3녀중 장남

연산군때에 노비 까지 되었다가 중종 반정으로 회생되어 고급 관직에 올라 조선조 4대 명신 중의 한분으로 오른 공편공 이유청의 이야기는 홍명희의 임걱정이라는 소설 시작부에 나오는 중심 인물 이교리의 이야기를 만들어 내게된 인물이다.

공편공(恭編公 )  이유청 (李惟淸

(13) 12(목은7세,牧隱6代孫집의공(執義)이언홍 (李彦洪, 1479成宗10己亥~1534明宗1丙午7월23일, 묘소: 고양시 덕양구 도내동 은지)  자(字) 치천(穉川). 중종(中宗) 정축(丁丑)에 사마 관(官)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을 역임(歷任)하고 의금부(義禁府) 도사(都事) 종묘(宗廟) 서령(署令) 장체원(掌체院) 사의(司議), 충훈(忠勳) 경력(經歷) 첨정(僉正)등을 역임하고 청도(靑道)군수(郡守), 통훈대부 행(行) 예천군수 겸 안동진관 병마동첨절제사. 수(壽) 68세 증손(曾孫) 이덕수(李德洙)의 귀(貴)로 증(贈) 통훈대부 사헌부(司憲府) 집의(執義). 이유청의 4남중 차남.

집의공(執義 公 ) 이언홍 (李彦洪)

(14) 13(목은8세,牧隱7代孫) 이 계 (李 洎, 묘소: 고양시 덕양구 도내동 은지)  집의(執義)에 추증, 봉정대부(奉正大夫). 자(字) 계지(水+自之) 관(官) 어회장군 행(行) 충좌위(忠佐衛) 호군(護軍) 증손(曾孫) 이태연(李泰淵)의 귀(貴)로 증(贈) 통훈대부 사헌부(司憲府) 집의(執義), 배(配) 숙인(淑人) 평산신씨(平山申氏) 부사(府使) 신윤형(申胤衡)의 여(女). 2남중 장남.

이 계 (李 洎),  묘소

한산이씨 15세로 호장공 이윤경 선조님의 14대손이자 중시조 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 문정공(文靖公)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년 음력 5월20일~1396년 5월20일) 선생의 목은8대손, 묵은9세(牧隱9世) 회승지공(澮承旨公) 이회(李澮, 1528 중종23년 9월17일~1597년 선조30년 12월 6일) 선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직계흐름도상 한산이씨 호장공계 15세 선조이자 목은9세이신 회승지공(澮承旨公) 이회(李澮, 1528 중종23년 9월17일~1597년 선조30년 12월 6일) 어른의 위치를 살펴보겠습니다.

.

이회(李澮) 선조님은 안소공(安昭公) 이훈(李塤) 선조님의 고손자이고 공편공(恭編公) 이유청(李惟淸) 선조님의 증손자이며 집의공(執義公) 이언홍(李彦洪) 선조님의 손자이며 통훈대부(通訓大夫) 이계(李洎) 선조님의 5남 중 장남으로 한산이씨 권지호장공계 15세로 호장공 이윤경 시조님의 14대손입니다.

.

이회(李澮) 선조님의 부인은 선조.광해군.인조에 걸쳐 영의정을 지낸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 어른의 누이인 전주이씨입니다. 두분 슬하에 목천홍산현감을 지냈고 후일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반정에 성공한 인조가 18살때 능양군이던 시절에 광해군일파인 이이첨 일파로 부터 능양군(인조)의 목숨을 구하고 목숨을 잃은 공으로 인조반정후에 분충출기(奮忠出氣) 정난원종(靖難原從) 일등공신(一等功臣)에 추봉되고 강원도 관찰사에 추증된 외아드님 이덕기를 두셨습니다. 이회 선조님은 외아드님 이덕기의 공으로 통정대부(贈通政大夫)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 겸(兼)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 춘추관수찬관(春秋館修撰官)에 추증되어 후일 후손들이 회승지공을 결성할때 승지란 직책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

직계표상 한산이씨 호장공계 15세 선조이자 목은9세이신 회승지공(澮承旨公) 이회(李澮, 1528 중종23년 9월17일~1597년 선조30년 12월 6일) 어른의 위치를 살펴보겠습니다.

.

이회(李澮) 선조님의 고조, 증조, 조부, 부친은 앞서 직계흐름도에서 말씀드렸으니 옆 제 직계표상에 보이는 아들 손자 증손 고손 순으로 소개하여 드리겠습니다. 1등공신으로 강원도 관찰사를 추증받은 이덕기 어른, 안성군수 이충연 (李沖淵) 어른, 열녀 경주최씨의 부군인 이창직 (李昌稷) 어른, 그리고 병마절도사 이수해 (李秀楷) 어른이 아들, 손자, 증손자 그리고 고손자이십니다.

.

그 뒤를 이어, 20 상주영장 이사목 (李思牧) 어른, 21 연산군수 이규첨 (李奎瞻) 어른, 22 절충장군 이원재 (李原載) 어른, 23 첨정 이원효 어른, 24 혜민원 주사 이승태 어른, 25 궁내부 특진관 성우공 이명직 어른, 26 평안북도 동면 면장 이철규 어른, 27 만주국 미곡검사관 이성구 어른, 28 제 부친인 창경궁 식물원장 방원 이성찬 선생등으로 이어져 내려왔습니다.

.

이회(李澮, 1528년9월17일~1597년 선조30년 12월6일) 선조님은 1528년, 조선(朝鮮) 중종(中宗) 23년이자 명나라 가정(嘉靖) 7년 음력 9월 17일 부친인 통훈대부(通訓大夫) 이계(李洎) 선조님과 부사를 지낸 신윤형(申胤衡)의 따님인 평산신씨(平山申氏) 사이에서 5남 중 장남으로 출생하셨습니다. 동생분들은 4살 아래로 참봉 이주(李凑, 1532~1594) 어른, 11살 아래로 어모장군(禦侮將軍) 이도(李濤, 1539~1592) 어른, 또 15살 아래로 통덕랑 이언(李漹, 1543~1622) 그리고 19살 아래로 통덕랑 이하(李河, 1547~1607) 어른이 동생분들입니다.

.

이회(李澮, 1528년9월17일~1597년 선조30년 12월6일) 선조님은 조선의 중앙군인 오위(五衛)의 충좌위(忠佐衛)에 소속된 충의위(忠義衛)의 충의(忠義)로 복무하셨습니다.

.

충의위(忠義衛)는 세종 즉위년인 1418년에 개국(開國)공신과 정사(定社)공신, 그리고 좌명(佐命)공신 등 3공신 자손들로만 구성된 임금을 호위하는 군대였습니다.

.

충의위(忠義衛)에 일정기간 복무하면 다른 관직으로 거관(去官)하여 관직에 진출할수 있었습니다. 음관은 군대복무 없이 바로 관직에 등용하는 반면 거관은 충의위에 일정기간 복무한후 관직에 등용하는 것입니다.

.

가문 족보에는 이회 선조님이 충의(忠義)로 복무하신 기록은 있지만 문무관의 벼슬을 지내셨는지는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단지 외아드님 이덕기의 공으로 사후에 통정대부(贈通政大夫)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 겸(兼)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 춘추관수찬관(春秋館修撰官)에 추증되었습니다.

.

이회(李澮, 1528년9월17일~1597년 선조30년 12월6일) 선조님은 세수 68세의 나이로 1597년 선조30년 명 만력(萬曆) 25년 12월6일에 작고하셨습니다.

.

외아드님인 이덕기(李德沂) 어른이 목천홍산현감을 지냈고 후일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반정에 성공한 인조가 18살때 능양군이던 시절에 광해군일파인 이이첨 일파로 부터 능양군(인조)의 목숨을 구하고 목숨을 잃은 공으로 사후에 증(贈)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 겸(兼)경연(經筵)참찬관(參贊官) 춘추관(春秋館) 수선관(修選官)에 추증되셨습니다.

.

역시 아드님의 공으로 부인인 선조.광해군.인조에 걸쳐 영의정을 지낸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 어른의 누이인 전주이씨(全州李氏) 께서도 숙부인(淑夫人)에 추증되셨습니다.

.

회승지공(澮承旨公) 분파 배경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이회 선조님의 직계 후손되시는 분이 제 고조부인 성우공 이명직 대감님의 미등록 토지 4필지를 인지하고 1990년대초 토지등록에 대한 특별법으로 토지를 등록하고 토지 소유주 성우공 이명직 대감님과 이회 선조님과 같은 후손이라는 공통점을 통해 성우공 이명직 대감님이 10대 선조인 이회 선조님을 위한 위토로 사용했다는 묘지기 김백문의 인의보증 서류를 만들어 위토로 등록하였습니다. 그리고 회승지공(澮承旨公) 어른의 후손들을 모아 회승지공 분파를 결성했습니다. 이후 회장취임을 한후 대표 등기를 하여 4필지의 등기권자가 되었습니다.

.

이후 토지는 인격권이 없는 종파에 등기할수 없고 오로지 종파를 대표하고 종파원의 일임을 받는 종원이 등기하게됨에 따라 종원 개인의 토지로 오용될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에 위토를 보호하고 회승지공 종회가 위토 취득에 이용되지 못하도록 회승지공 종회를 뜻있는 후손들이 모여 성실하게 관리하고 운영하여 회승지공 선조의 정신과 위토를 제공한 성우공 이명직 대감의 정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이회 어른의 묘소는 고양시 도내동 인재공파 광목공 한산이씨 선영에 고조부 이축 이하 후손 어른들과 함께 안장되어 있습니다. 손자 중연과 충연의 묘소 사이에 조성되어있습니다. 이곳 선영은 인재공파 후손들이 정성을 다하여 관리하고 있어서 그 어떤 가문의 선영 못지 않게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이회 어른의 묘소는 능선에 단을 쌓고 그 위에 부인 전주이씨와 쌍분으로 조성되어 있고 봉분 가운데로 혼유석, 상석, 향로석이 차례로 놓여 있으며 좌우에는 넉넉한 인상을 가진 문인석이 한 쌍 세워져 있습니다.

.

한산이씨 인재공파 세보에 나오는 이회(李澮) 선조 어른에 대한 내용입니다. 회(澮) 자는 사회이다. 중종25년(1528) 경인 9월17일에 태어나 선조30년(1597) 정유12월6일 졸하니 세수 68세다. 아들 덕기의 공훈으로 사후에 추증(贈)되어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 겸(兼)경연(經筵)참찬관(參贊官) 춘추관(春秋館) 수선관(修選官)이 제수되었다. 묘소는 고양시 덕양구 도내동 은지 첨산이다. 부부 쌍분이고 부인 전주이씨 함천군 이덕재의 딸에게 숙부인이 추증되었다. 참고로 부인 전주이씨는 선조.광해군.인조에 걸쳐 영의정을 지낸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의 누이입니다. 그로인해 오리 이원익 대감이 이회의 아들이자 생질인 이덕기가 과거에 급제하여 홍산목천현감으로 관직에 나가게되자 목민관이 행할 지침인 선각을 적어주어 후일 이덕기 어른이 목민서인 ‘선각록'을 남겨서 후일 정약용의 ‘목민심서'의 바탕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

다음18편에서는 한산이씨 16세 목은10세 이덕기 선조편에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https://youtu.be/2BwvkH-Gzm0 

이 회 (李 澮)

2-(16) 15(목은10세,牧隱9代孫이덕기 또는 이덕소 (李德沂 또는 李德), (1573선조계유년5월25일~1613계축년2월20일), 승정원 좌승지, 1등공신, 태인 현감(泰仁縣監), 부인 청주 한씨(淸州 韓氏), 단산 또는 단양이씨(丹山또는丹陽李氏), 이회의 외아들선조 179권, 37년(1604 갑진 / 명 만력(萬曆) 32년) 윤9월 10일(정해) 1번째기사 [조응문·이빈·윤응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조응문(趙應文)을 성균관 사성으로, 이빈(李馪)을 성균관 직강으로, 윤응서(尹應瑞)를 도총부 경력으로, 이춘영(李春榮)을 도총부 도사로, 정원경(鄭元卿)을 익위사 사어(翊衛司司禦)로, 심관(沈關)을 사헌부 감찰로, 심종침(沈宗忱)을 익위사 익위(翊衛司翊衛)로, 이정신(李廷臣)을 광주 목사(廣州牧使)로, 박준(朴浚)을 장단 부사(長湍府使)로, 이유홍(李惟弘)을 죽주 부사(竹州府使)로, 홍창세(洪昌世)를 영천 군수(永川郡守)로, 이유의(李惟義)를 배천 군수(白川郡守)로, 유명남(柳命男)을 태인 현감(泰仁縣監)으로, 이덕소 (李德)를 목천 현감(木川縣監)으로, 권술(權述)을 월곶 첨사(月串僉使)로, 한여징(韓汝徵)을 충훈부 도사(忠勳府都事)로, 이자해(李自海)를 성균관 전적으로 삼았다.【태백산사고본】 101책 179권 3장 A면【영인본】 24책 668면【분류】 *인사(人事) (계미보와 인재공파 족보 그리고 회승지공파 세보에는 이덕기 (李德沂)로 기록되어 있고 만가보와 이조실록 그리고 승정원일기에는 이덕소 (李德泝)로 기록되어 있다.)

이덕 소 ( 李德沂 또는  李德 泝 )

3-(17) 16(목은11세,牧隱10代孫) 이충연 (李沖淵), (1600선조경자년2월2일~1645을유년9월11일) 관직: 안성군수, 행금화현령(行金化縣令), 통훈대부(通訓大夫), 부인 여흥민씨, 파평윤씨(坡平尹氏), 이덕기 (李德)의 6남1녀중 차[[장손인 형 이중연(, 묘지: 은지첨산隱池砧山)이 자손이 없어 이충연(李沖淵)의 장남 흠직을 꾸어줌)]] 이중연(淵)

이충연 (李沖淵)

4-(18) 17(목은12세,牧隱11代孫) 이창직 (李昌稷), (인조계유癸酉1633년2월2일~1700경진11월15일) [생원진사시]효종(孝宗) 2년 (1651) 19세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3등(三等) 65위, 사마시 장원, 자 우경(虞卿), 생년 계유(癸酉)1633,  합격연령 19, 경(京), 유학(幼學). 

부인,  경주최씨(열녀) “한산이씨(韓山李氏) 이창직(李昌稙)의처다. 남편이 기이한 병에 걸리어 3년을 병석에 누우니 약을 쓰고 신에 빌어 하지 않은 것이 없다. 그러나 남편이 위독한 상태에 이르자 그녀는 손가락을 세 번이나 찢는 등 살을 베인 것이 두 차례로 3일의 생명의 연장을 보았고 마침내 남편이 사망함으로 그녀도 따라서 죽으려 하였다. 그러나 시부가 이르기를 네가 죽으면 세 살난 젖먹이의 울음소리는 누가 차마 보겠는가 함으로 죽지를 못하고 그 아이를 키워 그 가문을 잇게한 열녀다.” 

이충연 (李沖淵)의 6남1녀중 차남[[이흠직(, 묘지: 안성군 대문리 입봉하즉좌, 이중연淵이 자손이 없어 이충연(李沖淵)의 6남1녀중 장남 이흠직을 꾸어줌)]] 이흠직(稷)

이창직 (李昌稷) ,

5-(19) 18(목은13세,牧隱12代孫) 이수해 (李秀楷), (1679숙종기미년4월2일~1756영조을유년2월21일) 자는 사범(士範), 正郞, 任實縣監, 통훈대부, 종2품 병마절도사. 인 창원 황씨 (昌原 氏). 이창직 (李昌稷)의 3남중 3남[[이수열(, 묘지: 안성군 금광 사흥리 석암동, 이흠직의 4남3녀중 차남)]] 이수열()

이수해 (李秀楷)

6-[1] (20) 19(목은14세,牧隱13代孫) 이사목 (李思牧), (1693숙종계유년11월17일~1775영조을미년10월5일, 묘지: 始興시흥 之山금지산) 자는 중술(仲述), 통덕랑(通德郞), 부호군(副護軍), 승지(承旨), 인동부사(仁同府使 1723), 오위장(五衛將 1724), 종2품 상주영장(尙州營將 1725), 부인 안동 권씨 (安東 權氏), 죽산 안씨 (竹山 安氏)이수해 (李秀楷)의 3남1녀중 차남[[제상(濟相, 묘지: 안성군 원곡면 성은리, 이수열의 2남중 차남)]] 제상(濟相)

이사목 (李思牧)

7-[2] (21) 20(목은15세,牧隱14代孫) 이규첨 (李奎瞻), (1741영조신유년~1802순조임술년7월14일, 묘지: 東道羅之亥坐) 자는 동보(東甫), 연산(連山)郡守, 부인 광산 김씨 (光山 金氏)이사목 (李思牧)의 1남4녀중 외아들순조 4권, 2년(1802 임술 / 청 가경(嘉慶) 7년) 7월 20일(무자) 3번째기사, 충청 감사가 연산현의 백성이 본관을 칼로 찔러 죽인 일을 아뢰다.  충청 감사 조석중(曹錫中)이 연산현(連山縣)의 백성 전호길(全好吉)이 본관(本官) 이규첨(李奎瞻)을 칼로 찔러 죽이고 전호길도 또한 곧 바로 쓰러져 죽었으니 관아(官衙)에 있는 하속(下屬)들을 모두 붙잡아다 가두고 엄중하게 핵실(覈實)할 일로써 아뢰었다.【태백산사고본】 4책 4권 26장 B면【영인본】 47책 434면【분류】 *사법-치안(治安). 이규첨 후손이 없어 판중추공파(判中樞公派, 참고1) 이규욱(李奎稶)의 아들 이원재 (李原載)를 양자로 받음. [[규동(奎東, 묘지: 안성군 원곡면 성은리, 이제상濟相의 외아들)]] 규동(奎東)

이규첨 (李奎瞻)

8-[3] (22) 21(목은16세,牧隱15代孫) 이원재 (李原載), (1793정조계축년2월3일~1850경술년3월25일, 묘지: 水原東北面石隅降基子坐) 문과(文科) 정언(正言) 절충장군 (折衝將軍)부인 여흥 민씨 (驪興 閔氏) (묘지: 시흥소박산). 외아들 양자  [[이의재(, 묘지: 태봉하갑좌, 이규동奎東의 2남중 차남)]]  이의재(載)

이원재 (李原載)

9-[4] (23) 22(목은17세,牧隱16代孫) 이원효 또는 이필재 (李源孝 또는 弼在, 1815년9월7일~1887년12월24일, 묘지: 水原茂洞子坐문과(文科) 첨정 (僉正)경주 정씨(慶州 鄭氏), 이원재의 외아들. 후손이 없어 이윤경의 15(목은10세,牧隱9代孫)으로 태인현감 이덕기(李德)의 장자 이중연 (李淵)의 후손 [[이원기(李源基, 묘지: 안성군 원곡면 성은리 산14-1, 이의재의 2남중 차남)]]의 5남3녀중 5남 이승태 (李承台)를 양자로 받아 대를 이었다. 이원기(李源基)

안성군 원곡면 성은리 이원기 재실

10-[5] (24) 23(목은18세,牧隱17代孫) 이승태 (李承台, 묘지: 수원 동탄면 석우리, 1832년10월25일~1924년2월24일) 호는 오산(梧山), 종(高宗) 24년(1887)에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혜민원주사(惠民院主事,고종 39년 임인 1902년8월6일) 부인 여주 이씨 (驪州 李氏), 청주 한씨 (淸州 韓氏)외아들 양자 [생부 이원기(李源基, 묘지: 안성군 원곡면 성은리 산14-1)].

 

[진사시] 고종(高宗) 31년(1894)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784위(813/1055)

11-[6] (25) 24(목은19세,牧隱18代孫) 성우공(性祐) 이명직(공문서상 식으로도 기제, 李命稙 혹은 李明稙(?) (공문서상 '이명식'으로도 기제한 이유는 공무원들이 한자 직稙자를 식植자로 잘못 인식하여 한글 토지대장에 식으로 기제된것임)乙丑1865년1월11일~乙卯1915년9월7일, 수원 동탄면 석우리)은 조선 말기에 조선조 마지막 진사시인 갑오식년 진사시에 입격하여 탁지아문 주사로 임명되었다. 사회계몽가, 사상가이다. 자는 성우(性祐)이다.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을 밉게 본 일제와 친일파들에 의해 1915년 암살당한 독립지사였다. 본관은 한산, 고려의 학자 이색의 19대 후손이다. 사상과 신념은 개화문물주의이다. 부인 전주 최씨 (全州 崔氏)5남6녀중 장남. 형제분 충직(稙), 송직(), 만직(稙-아들 舞珪), 성직(稙), 

[http://ko.wikipedia.org/wiki/이명직_(문신)]

 

이명직 (문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명직(李命稙, 1865년 1월 11일~1915년 9월 7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독립지사, 사회계몽가, 사상가이다. 자는 성우(性祐)이다. 성명이 한산세보에는 이명직(李命稙), 외직에 있을때는 이명직(李命稙), 내직에 있을때는 이명직(李明稙)을 사용했다는 일화가 있다. 그 일화는 명직(命稙)의 함자중 목숨 명(命)자를 밝을 명(明)자로 쓴 것은 당시 내직에 들어 고종 황제를 옆에서 보필하면서 고종 황제의 원래 존함이

ko.wikipedia.org

성우공(性祐公) 이명직( 李命稙)

12-[7] (26) 25(목은20세,牧隱19代孫) 이철규 (李喆珪, 丁亥1887년11월22일~己未1919년10월6일, 수원 동탄면 석우리)는 대한제국 농공상부 금광국 기수(農商工部 金鑛局 技手)로서 해외 열강의 조선 잠식이 시작되던 그 혼란기에 조선의 금광등을 관리 하던 중책을 맡고 노심초사 하다가 1919년 고종죽음에 의문을 제기하다 일제에 부친 이명직과 4년 사이로 참살당한 애국지사였다. 부인 영일 정씨 (迎日 鄭氏), 밀양 박씨 (密陽 朴氏)3남중 장자. [애국지사 이철규, 그는 누구인가?]

 

금광국 기수 증조부  이철규 (李喆珪)

13-[8] (27) 26(목은21세,牧隱20代孫) 이성구 (李成求, 1908년9월18일~1981년11월23일, 화장)는 수원농림을 나온 후 만주국 농림국 미곡검사관(滿洲國 農林局 米穀檢査官)을 지냈으며 독립군에게 군자금을 조달한 독립지사였다. 부인 순창조씨(淳昌 趙氏, 1909년2월7일~1975년8월9일, 화장). 이철규의 2남중 장남. 참고: 나의 조부 이성구 (李成求) 

좌로부터 조부 이성구 (李成求), 조모 조언례, 부친 방원 이성찬

14-[9] (28) 27(목은22세,牧隱21代孫) 이성찬 (李盛, 1927년12월5일~2018년4월13일, 동작동 국립현충원)은 6.25참전상이국가유공자, 경성원예학교를 나와 경무대 조경담당관과 초대 창경원 식물원장(初代 昌慶園 植物園長)과 전주농림학교에서 원예를 가르쳤으며 식물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 박사의 조교를 지냈다. 호는 방원(芳園)이다. 부인 전주이씨 (全州 李氏, 1932년6월10일~, 수필가), 외아들.  [방원 이성찬 소평전]

좌로부터 방원 이성찬, 고병민, 지운 김철수, 최영전, 우장춘(중앙)

15-[10-1] (29) 28(목은23세,牧隱22代孫) 이태원 (李,음력 1955년 10월 29일~ )은 세계 최고의 안과병원인 유팬의 윌리스 아이 하스피탈에서 연구한 의학박사(醫學博士)이고 세계 최초로 안구적출없이 안구암시술을 집도한 안과전문의(眼科專門醫)이다. 1990년대초 한국에 최초로 라식기술을 도입하여 미국보다 먼저 선진의학기술을 한국인에게 제공했다. 호는 신제이다. 본관은 한산, 고려의 학자 이색의 22대손이다. 도곡2동 타워팰리스 안의 타워팰리스클리닉 이태원안과의 원장이다. 대한 안과의사회 부회장, LYCOMM CEO, 강남 서초 안과의사회 회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안과학), 대한 검안학회 초대회장, 대한 안과학회 전산정보위원장, 한국 원자력병원 (KCCH) 초대 안과과장, Wills Eye Hospital, oncology Service 교환교수, 대한민국 육군 군의관 대위 그리고 서울대학교 병원 안과전공의를 지냈다현재는 이태원안과 원장, 서울고등법원 조정위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대한 미용문신의학회 부회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총동창회 상임이사 (운영위원), 미국안과학회 (AAO) Member, 미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 (ASCRS) Member, 대한안과의사회 라식/라섹 위원회 위원장이다. 부인 파평윤씨(坡平尹氏의학박사, 산부인과전문의)3남2녀중 장남.

이태원 (李 泰 遠)

16-[11-1-1] (30) 29代孫(목은24세,牧隱23代孫) 이은수 (李, 1989년1월4일생) 이태원의 1남1녀중 외아들자는 동현(東鉉). 미국방성 근무.

 

16-[11-1-2] (30) 29代孫(목은24세,牧隱23代孫) 이주현, 이태원의 1남1녀중 1녀. 

 

15-[10-2] (29) 28(목은23세,牧隱22代孫) 이창원 (李음력 1957년 10월 7일~ )은 대한민국의광고인으로 광고회사 대표이고 고려대에서 영화학박사 (映畫博士)과정을 수료. 호는 노제이다. 부인 파평윤씨(坡平尹氏, 언어치료학박사, 대학교수)3남2녀중 차남.

 

이창원 (李 昌 遠 )

16-[11-2-1] (30) 29代孫(목은24세,牧隱23代孫) 이두수 (李, 1988년1월6일생) 이창원의 2남중 장남. 자는 두열(杜烈). 연세대의대 졸. 암센터 수련의.

 

16-[11-2-2] (30) 29代孫(목은24세,牧隱23代孫) 이 (李, 1989년8월9일생) 이창원의 2남중 차남. 미국노스웨스턴대학졸. 공군통역장교.

 

15-[10-3] (29) 28(목은23세,牧隱22代孫) 이양원 (李음력 1959년 5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경찰 총경(警察總警) 창영조씨(昌寧曺氏) 조기준의 부인이다. 슬하에 조명은과 조승현 1녀1남을 두었다. 3남2녀중 3째로 장녀.

 

15-[10-4] (29) 28(목은23세,牧隱22代孫) 이상원 (李相遠, Samuel Sangwon Lee, 음력 1961년 6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5•18 민주화운동유공자, 수필가, 언론인, 사회계몽가, 사상가, 재미 농공학자, 수공학자, 수문학자, 환경공학자이다. 호는 인제(忍齊), 아호는 황장(黃薔)이다. 본관은 한산, 고려의 학자 이색의 22대손이다. 사상과 신념은 자유민주주의이다. 한국잡지협회 부설 한국잡지연구소의 잡지연구원으로 근무하다 미국에 유학하여 환경공학박사가 되어 미국 국방성 수문조사관을 거쳐 미국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 검사관(美國聯邦에너지規制委員會 檢査官)으로 미국관리로 근무하고 있다. 부인 안동김씨 (安東 金氏, 1963년8월21일~, 간호장교 대위전역), 3남2녀중 4째로 3남. [노란장미 이상원의 사는 이야기]

 

이상원 (李相遠 , Samuel Sangwon Lee)

16-[11-4-1] (30) 29代孫(목은24세,牧隱23代孫) 이경수 (李炅洙, 1989년생) 이상원의 외아들. 툴레인(Tulane University), 고려대국제학부졸.

 

15-[10-5] (29) 28(목은23세,牧隱22代孫) 이정현 (李음력 1967년 10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교육인으로 영어학원 원장이다. 3남2녀중 5째로 차녀.

 

http://blog.daum.net/enature/15851296

좌로부터 이상원 이태원 이창원

회승지공(澮承旨

公)

  • 1 : 이 회 (李 澮忠義, 縣監左承旨), 부인: 전주 이씨 (全州 氏) 
  • 2 : 이덕기 (李德左承旨, 泰仁縣監), 부인: 청주 한씨(淸州 韓氏), 단산/단양이씨(丹山/丹陽李氏)
  • 3 : 이충연 (李沖淵安城郡守, 通訓大夫), 부인: 여흥 민씨 (驪興 閔氏), 파평윤씨(坡平尹氏); 이중연(淵)
  • 4 : 이창직 (李昌稷生員), 부인: 경주 최씨(烈女慶州 氏); 이흠직(稷)
  • 5 : 이수해 (李秀楷任實縣監, 通訓大夫兵馬節度使), 인 창원 황씨 (昌原 氏)이수열(烈)

이사목공 (李思牧)

  • 6(澮承旨公),1 : 이사목 (李思牧, 仁同府使, 五衛將), 부인: 안동 권씨 (安東 權氏), 죽산 안씨 (竹山 安氏)제상(濟相)
  • 7(澮承旨公),2 : 이규첨 (李奎瞻, 連山郡守), 부인: 광산 김씨 (光山 金氏); 규동(奎東)
  • 8(澮承旨公),3 : 이원재 (李原載, 折衝將軍), 부인: 여흥 민씨 (驪興 閔氏); 이의재(載)
  • 9(澮承旨公),4 : 이원효 (李源孝, 僉正), 부인: 경주 정씨 (慶州 鄭氏); 이원기(李源基)
  • 10(澮承旨公),5 : 이승태 (李承台, 義禁府都事), 부인: 여주 이씨 (驪州 李氏), 청주 한씨 (淸州 韓氏)
  • 11(澮承旨公),6世 : 이명직 (李命稙), 부인: 전주 최씨 (全州 崔氏)
  • 12(澮承旨公),7 : 이철규 (李喆珪, 農商工部 金鑛局技手), 부인: 영일 정씨 (迎日 鄭氏), 밀양 박씨 (密陽 朴氏)
  • 13(澮承旨公),8 : 이성구 (李成求, 滿洲國 農林局 米穀檢査官), 부인: 순창 조씨 (淳昌 趙氏)
    • 14(澮承旨公),9 : 이성찬 (李盛, 初代 昌慶園 植物園長), 부인: 전주 이씨 (全州 氏)
      • 15(澮承旨公),10 : 이태원 (李泰遠, 眼科專門醫 醫學博士), 부인: 파평 윤씨 (坡平 尹氏, 醫學博士)
        • 16(澮承旨公),11 : 이은수 (李垠洙, 東鉉), 이주현
      • 15(澮承旨公),10 : 이창원 (李昌遠, 映畫學碩士), 부인: 파평 윤씨 (坡平 尹氏, 言語治療學博士)
        • 16(澮承旨公),11 : 이두수 (李杜洙, 杜烈), 이연수 (李沇洙)
      • 15(澮承旨公),10 : 이양원 (李良遠), 부군: 창녕 조씨(昌寧曺氏, 警察總警)
      • 15(澮承旨公),10 : 이상원 (李相遠, 環境工學博士 美聯邦에너지規制委 檢査官), 부인: 안동 김씨 (安東 金氏)
        • 16(澮承旨公),11 : 이경수 (李炅洙)
      • 15(澮承旨公),10 : 이정현 (李定炫, 英語學院長)
  • 13(澮承旨公),8 : 이용구 (李容求, 오리온, 유한양행 근무), 부인: 안동 권씨 (安東 權氏)
  • 14(澮承旨公),9 : 이현찬 (李賢, 금촌역장), 부인: 전주 최씨 (全州 崔氏)
    • 15(澮承旨公),10 : 이세원 (李遠)
    • 15(澮承旨公),10 : 이동원 (李東遠)
  • 14(澮承旨公),9 : 이영찬 (李榮, 인천저축은행장), 부인: 성주 이씨 (星州 李氏)
    • 15(澮承旨公),10 : 이자원(滋遠) 
    • 15(澮承旨公),10 : 이제원(濟遠) 

+++

 

이명직 (문신)

 

이명직 (李命稙 )출생사망거주지학력직업종교배우자자녀부모

 
1865년(고종 2)1월 11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13번지
1915년9월 7일(?)
수원 동탄 돌머루(석우리) 은거
한학
조선 말기의 문신, 사회계몽가, 사상가
유교
시흥 최씨(始興 崔氏)
아들 이철규(李喆珪)
아버지 이승태(李承台)
어머니 청주 한씨(淸州 韓氏)
 

 

이명직(李命稙, 1865년 1월 11일~1915년 9월 7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독립지사, 사회계몽가, 사상가이다. 자는 성우(性祐)이다. 성명이 한산세보에는 이명직(李命稙), 일설에 의하면 외직에 있을때는 이명직(李命稙), 내직에 있을때는 이명직(李明稙)이다. 그 이유는 명직(命稙)의 함자중 목숨 명(命)자를 밝을 명(明)자로 쓴 것은 당시 내직에 들어 고종 황제를 옆에서 보필하면서 고종 황제의 원래 이름인 목숨 명(命)자에 복복(福)자 였기에 임금의 함자를 피하여 목숨 명(命)자를 밝을 명(明)자로 표기하는 충신된 신하의 자세를 보인 것이다. 1907년 고종퇴위를 막으려다 고종과 함께 축출되어 수원군 동탄면 석우리에 칩거하며 젊은 지식인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며 해외유학을 독려하다 1915년 호랑이 사냥꾼으로 위장하여 사랑체에 장기간 유숙하던 일본인에게 독살되었다.  본관은 한산고려의 학자 이색의 18대손이다[1]. 사상과 신념은 개화문물주의이다.

 

목차

 

 

 

약력

 

간략정보

  • 한자 李命稙 (공문서상 '이명식'으로도 기제한 이유는 공무원들이 한자 직稙자를 식植자로 잘못 인식하여 한글 토지대장에 식으로 기제된것임)
  • 분야 역사/근대사
  • 유형 인물
  • 시대 근대
  • 성격 문신
  • 성별 남
  • 생년 1865년(고종 2)
  • 몰년 1915년
  • 본관 한산(韓山)
  • 대표관직(경력) 탁지부주사|내장원경(?)|궁내부특진관(?)

 

정의[편집]

  • 1865(고종 2)∼1915,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편집]

본관은 한산(韓山). 승태(承台)의 아들이다.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으로 과거제가 폐지되기 직전 조선의 마지막 진사시인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에 진사 3등(三等)으로 입격한 뒤 관직에 올라 1895년2월19일 탁지아문(度支衙門) 주사(主事)가 되었다[2]

1906년(고종 9년) 6월 협잡으로 경무청에 체포된 민원식이 조선 거리의 비위생적인 점을 지적하고 방역과 소독 활동, 도로 포장 등의 활동을 건의하자 내부 서기(內部 書記)로 천거하여 2달만에 위생과장이 되도록 하여 8월에 일본인, 독일인, 영국인 의사들을 초청하여 경성부의 동대문과 종로 일대에서 무료 진료를 실시하고, 참석자에게 구충제를 나눠주는 보건, 위생을 홍보하는 위생환등회의 개최를 성사시켰다[4].

1907년(광무 10년)에 고종퇴위를 막으려다 고종퇴위와 함께 축출되어 수원군 동탄면 석우리에 칩거하며 젊은 지식인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며 해외유학을 독려하다 1915년 호랑이 사냥꾼으로 위장하여 사랑체에 장기간 유숙하던 일본인에게 독살되었다.

사회 활동[편집]

1907년 고종퇴위를 막으려다 고종퇴위와 함께 축출된 후에는 경기도 화성군 동탄면 돌머루(석우리)에 은거하며 노작 홍사용, 월탄 박종화, 빙허 현진건 백조파의 문인들과 토월회회원들에게 한학과 고전 학문을 가르치며 세상의 문물 전파와 세상 격변을 갈파하였다[5].

나라 망할 것을 예측하고 "똑똑한 자식있으면 해외로 공부하러 보내라"고 전국 방방곡곡의 식견 있는 인사들의 집안에 독려 전파하였다[6].

외국의 신식 문물을 배워와야 한다는 신념이 있었다.

생애[편집]

출생과 가계

 

 

선조 목은 이색

 

이명직(공문서상 식으로도 기제, 李命稙 혹은 李明稙, 공문서상 李命植으로도 기제)

 

아들 이철규

 

이명직은 고종 2년인 1865년 1월 11일 조선 한성부 종로 계동 13번지에서 이승태(李承台)와 청주 한씨(淸州 韓氏)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집안은 고려말의 학자 이색의 후손으로, 이색의 차남 인재공의 17대손이었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벼슬살이를 하였는데 이명직(李命稙)은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으로 과거제가 폐지되기 직전 조선의 마지막 진사시인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으로 입격한 후 탁지아문 주사로 관직에 들었다 [7].

1887년 부인 전주 최씨(全州 崔氏)와의 사이에서 구한말 금광국 기수를 지내는 아들 이철규(李喆珪)를 생산 하였다 [8].

생애[편집]

1907년 고종퇴위를 막으려다 고종퇴위와 함께 축출된 후, 수원 동탄 돌머루(석우리)에 은거하며 노작 홍사용, 월탄 박종화, 빙허 현진건등 백조파의 문인들과 토월회 회원들에게 한학과 고전 학문을 가르치며 세상의 문물 전파와 세상 격변을 갈파하였다. 사발통문을 띄워 전국 방방곡곡의 식견 있는 인사들의 집안에 똑똑한 자식 있으면 해외로 공부하러 보내는 길이 나라를 찾는 길이라고 독려 전파하였다.[9]

한산이씨 세보에는 1865년 1월 11일에 출생하여 1915년 9월 7일에 사망하였다. 일제에 항거하는 계몽운동을 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긴 일제와 친일파는 1915년 일본인 암살자를 호랑이 사냥꾼으로 위장하여 사랑체에 장기간 유숙하게 하여 이명직을 독살하였다. 이어 4년뒤 고종의 죽음에 의혹을 제기하며 극열히 저항하던 금광국 기수를 지내던 아들 이철규(李喆珪)도 일제에 의해 참살당했다.

외국의 신식 문물을 배워와야 한다는 신념이 있었다. 경기 기흥 신갈에 있던 이명직의 묘를 이장할 때 후손과 묘역 꾼 중의 모개비(우두머리)에 의하면 이명직의 신체는 구척장신이라 하였다.

고종실록에 의하면, 고종 황제도 인정한 신언서판 명필 중의 명필이었다. 2014년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근대서화전’이 대전 유성구 봉명동 ‘성암미술관’에서 열려 이명직(李命稙) 대감의 다수의 서화작품이 전시되었다.[10]

가족 관계[편집]

    • 현조부 : 이사목 (李思牧, 仁同府使, 五衛將, 尙州營將)
    • 현조모 : 안동 권씨 (安東 權氏), 죽산 안씨 (竹山 安氏)
      • 고조부 : 이규첨 (李奎瞻, 連山郡守)
      • 고조모 : 광산 김씨 (光山 金氏)
        • 증조부 : 이원재 (李原載, 折衝將軍)
        • 증조모 : 여흥 민씨 (驪興 閔氏)
          • 조부 : 이원효/필재 (李源孝/弼在,僉正)
          • 조모 : 경주 정씨 (慶州 鄭氏)
            • 부 : 이승태 (李承台, 義禁府都事)
            • 모 : 여주 이씨 (驪州 李氏), 청주 한씨 (淸州 韓氏)
              • 부인 : 전주 최씨 (全州 崔氏)
                • 자 : 이철규 (李喆珪, 農商工部金鑛局技手)
                • 자부 : 영일 정씨 (迎日 鄭氏), 밀양 박씨 (密陽 朴氏)
                    • 손자 : 이성구 (李成求, 滿洲國農林局米穀檢査官)
                  손부 : 순창 조씨 (淳昌 趙氏)
                      • 증손자 : 이성찬 (李盛, 初代昌慶園植物園長)
                  증손부 : 전주 이씨 (全州 李氏)
                      • 고손자,고손부:이태원(李泰遠,眼科專門醫醫學博士),파평윤씨(坡平尹氏,醫學博士)
                        • 현손 : 이은수 (李垠洙, 東鉉), 이주현
                      • 고손자,고손부:이창원(李昌遠,映畫學博士修了),파평윤씨 (坡平尹氏,言語治療學博士)
                        • 현손 : 이두수(李杜洙, 杜烈), 이연수(李沇洙)
                      • 고손녀,고손사위:이양원 (李良遠),창녕조씨(昌寧曺氏,警察總警)
                      • 고손자,고손부:이상원(李相遠,環境工學博士美國聯邦에너지規制委員會檢査官),안동김씨(安東金氏,陸軍大尉)
                        • 현손 : 이경수 (李炅洙)
                      • 고손녀:이정현(李定炫,英語學院長)
                  • 손자,손부: 이용구(李容求,오리온柳韓洋行勤務), 안동권씨(安東權氏)
                    • 증손자,증손부:이현찬(李賢粲,金村驛長),전주최씨(全州崔氏)
                      • 고손녀 : 이세원 (李遠)
                      • 고손자 : 이동원 (李東遠)
                    • 증손자,증손부:이영찬 (李榮粲,仁川貯蓄銀行長),성주이씨(星州李氏)
                      • 고손자 : 이자원(李滋遠)
                      • 고손자 : 이제원(李濟遠)

[11]

관련 서적[편집]

  • 『고종실록(高宗實錄)』
  • 『국조방목(國朝榜目)』

같이보기[편집]

주석[편집]

  1.  나의 뿌리: 한산이(韓山李)씨29世 후손
  2. 이동 度支衙門 主事 李命稙 임명
  3. 이동 延安郡 전임군수 李命稙의 청원서
  4. 이동 김수남, 《한국영화의 쟁점과 사유》(문예마당, 1997) 352페이지
  5. 이동 성우 이명직 대감과 노작 홍사용 – '눈물의 왕' 홍사용과 화성
  6. 이동 지운 김철수선생 – 좌익 소아병을 극복한 정치인
  7. 이동 나의 고조부 이명직(李命稙) - 한산군 목은 이색의 둘째아들 인재공파로 목은 이색선생의 18대손
  8. 이동 나의 증조부 이철규(李喆珪) - 한산군 목은 이색의 둘째아들 인재공파로 목은 이색선생의 19대손
  9. 이동 우장춘 박사가 한국에 영구 귀국한 이유
  10. 이동 조선 궁중 화원들의 그림 어떨까? - 굿모닝충청
  11. 이동 나의 뿌리: 한산이(韓山李)씨 인재공(麟齋公)-광목공(光牧公)후손이동

외부 링크[편집]

분류: 

 

 

한산이씨(韓山李氏)

 

새만금일보 중에서 ㅣ 기사입력  2014/11/19 [00:19]

 

호장공계(戶長公系)의 시조 이윤경(李允卿)은 고려 중엽에 권지호장(權知戶長)을 지냈다. 호장이란 12목(牧)의 향리(鄕吏) 중 당대(堂大)의 위계(位階)를 말한다. 호장의 직책은 풍속을 바로 잡는 것이었다. 고려 성종 때부터 시작된 이 제도는 지방의 명망가나 호족출신이 맡았던 것이어서 한산이씨의 선계는 한산지방에서 크게 세를 누렸음을 짐작할 수 있다. 

 

호장공계가 관향을 한산으로 삼게 된 것은 충혜왕조에 진사가 되고 이어 우리나라 성리학의 대종인 문정공 이 색이 대제학, 문하시중 등 요직에 오르고 한산부원군에 봉해진 데에 연유한다. 호장공계의 주요파는 문혜공파, 판중추공파, 광복공파, 진목공파, 총제공파, 양도공파, 직강공파, 순절공파, 공무공파, 문열공파, 감찰공파, 집의공파 등이다. 

 

한산은 충남 서천군 한산면의 지명이다. 오늘날에도 한산면은 한산이씨의 텃밭이다. 이 마을에는 시조 이윤경 그리고 이 곡, 목은 이 색의 묘소가 있으며 월남 이상재의 생가와 추모비도 보존되어 있다.

 

목은 이 색(1328~1396)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유학자이다. 찬성사 이 곡의 아들이며 이제현의 제자로서 고려 말 삼은(三隱)의 한 사람이다. 서장관에 임명된 뒤 원나라에 들어가 문과에 급제, 한림지제고가 되었다.

 

1367년(공민왕 16) 성균대사성이 되었으며 정몽주, 김구용 등과 명륜당에서 학문을 강론했다. 이 때 정주(程朱)의 성리학이 처음으로 일어났다. 목은은 정몽주가 피살되면서 이와 관련되어 금천, 여흥, 장흥 등지로 유배된 뒤에 석방되었다.

 

조선 개국 후 태조는 그의 재능을 아껴 한산백(韓山伯)에 봉하고 출사(出仕)를 종용했으나 끝내 고사했다. 다음 해인 1396년 여주의 신륵사에서 급병으로 갑자기 사망했다. 그 사인에 대하여는 후세에 의혹을 남기고 있다.

 

목은은 한산이씨의 중시조로 받들어지는 거인이다. 후손들은 목은 대부터 댓수를 헤아려 ‘목 은 몇 대손’이라고 말한다. 성리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 목은의 문하에서는 권 근, 김종직. 변계량 등 기라성 같은 학자들이 배출됐다. 목은의 출생지인 경북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전통마을에서는 해마다‘목은문화재’가 열린다.

 

사육신의 한 사람인 이 개는 한산이씨 문중을 빛낸 인물이다. 목은의 증손인 그는 일찍부터 시문에 뛰어나 세종 18년 문과에 급제하고 뒤에 벼슬이 직제학에 이르렀다. 성삼문 등과 같이 단종의 복위를 모의하다 사형당한다.

 

화담 서경덕의 문하인 토정(土亭) 이지함(1517~1578)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다. 토정은 그가 마포 나루에‘토정’이라는 흙집을 짓고 가난한 사람들과 같이 살았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토정은 선조 11년 아산현감으로 있을 때‘걸인청’이란 것을 만들어 관내의 거지들을 돌본 기인이다. 천문, 의약, 음양, 복술에 통달했으며 그가 남긴‘토정비결’은 지금도 널리 애용되는 예언서다.

 

월남 이상재(1850-1927)는 서재필, 이승만, 윤치호 등과 독립협회를 조직, 민중계몽에 앞장섰다. 1924년 9월 조선일보사 사장으로 취임한 뒤 지방판 부록을 발행하고 조석간 6면 체제를 확립했다. 1925년 제1회 전국기자대회가 열리자 의장을 지내기도 했다. 1927년 3월 죽은 뒤 최초의 사회장이 치러졌고, 한산 선영(先塋)에 안장되었다. 1957년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삼하리로 이장되었다.

 

현대 인물은 이훈구(성균관대총장), 이헌구(이화여대교수), 이현복(서울대언어학과교수), 이혜구(서울대교수), 이상복(서울대교수), 이웅직(서울대교수), 이돈구(서울대교수), 이홍석(서울대교수), 이성규(서울대교수), 이준구(서울대교수), 이순구(고려대교수), 이덕봉(고려대교수), 이태원(고려대교수), 이효구(서강대교수), 이정석(이화여대교수), 이확구(연세대교수), 이성복(성균관대교수), 이경구(성균관대교수), 이일규(대법원장), 이영복(판사), 이상원(판사), 이명구(충북지사), 이기원(국방대학원교수), 이덕상 (경희대교수), 이성규(약학박사, 이화여대약대학장), 이세규(의학박사, 조선대교수), 이영규(정치학박사, 단국대대학원장), 이일규(이학박사, 동국대교수), 이진구(이화여대교수), 이홍직(문학박사, 고려대교수), 이관직(대성특수고무 사장), 이대규(중앙제약 상무), 이돈구(산업은행감사), 이명직(신학박사, 목사), 이범구(서예가), 이복규(대한건설공제조합장), 이봉구(서울신문상무), 이봉재(변호사), 이상규(태창증권사장), 이서구(극작가), 이석구(강경상고교장), 이수직(신탁은행 상무), 이영복(대한화재보험전무), 이원직 (동익산업 사장), 이윤복(쌍용시멘트전무), 이인구(대한통운상무), 이재규(의학박사, 결핵협회장), 이중구(동구출판 사장), 이창복(육군준장), 이풍구 (변호사), 이남구(육군소장), 이남규(변호사), 이훈구(제헌의원), 이진복(체신부차관), 이태현(농진청장), 이건식(김제시장), 이한수(익산시장), 이우복(대우그룹부회장), 이선규(동성제약사장), 이수복(아시아중석회장), 이관직(대성고무사장), 이은복(한국생산성본부이사장), 이준원(풍림산업회장), 이영직(동서산업사장), 이관구(조선일보논설위원, 서울신문 사장), 이종복(중앙일보논설위원), 이혜복(KBS방송위원), 이긍규(기자협회장, 국회의원), 이인구(대종회이사장), 이현복(문학박사), 이남복(약학박사), 이정복(충남대교수), 이경구(농협도지부장), 이효원(농학박사), 이홍복(국가대표사이클선수), 이성구(국가대표농구선수), 이현구(장서가), 이명복(대한교육보험감사) 씨 등이다. (무순, 전·현직 구분 안 됨)

 

본관 한산(韓山)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940년(고려 태조 23)에 한산으로 고쳤다. 1175년(명종 5) 감무(監務)를 두었고 홍산(鴻山)을 겸임하였고, 후에 지한주사(知韓州事)로 승격되었다가 1413년(태종 13) 한산군(韓山郡)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서천군에 병합되어 지금은 한산면으로 남아 있다. 한산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한산김씨(韓山金氏), 한산이씨(韓山李氏), 한산정씨(韓山程氏), 한산조씨(韓山趙氏), 한산한씨(韓山韓氏) 등이 있다.집성촌은 충남 서천군 한산면 마양리, 충남 서천군 한산면 온동리, 충북 청원군 오창읍 주성리, 전북 군산시 성산면 도암리, 강원도 회양군 상북면 목곡리, 황해도 연백군 유곡면 이포리, 황해도 해주군 서변면 지동리, 황해도 서흥군 용평면 월탄리 등이다. 본관 지명이 있는 충남 서천군 일원에는 875가구 2,163명이 살고 있다.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는 모두 758명이 있다. 문과 200명, 무과 36명, 사마시 518명, 의과 2명, 음양과 2명이다. 통계청의 인구 조사에 의하면 한산이씨는 1985년에는 총 28,471가구 119,180명, 2000년에는 총 42,005가구 136,615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5년 만에 1만4천여 가구,1만7천여 명이 늘어났다. 1985년 당시 전국의 지역별 인구 분포는 서울 38616명, 부산 2970명, 대구 2277명, 인천 6212명, 경기 18335명, 강원 3241명, 충북 6625명, 충남 27797명, 전북 5953명, 전남 2051명, 경북 3009명, 경남 1927명, 제주 161명이다. 서울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가운데서 충남에 가장 많은 인구가 살고 있다.

 

그 뒤 15년 후인 2000년 현재는 서울 37,116명, 부산 3,007명, 대구 2,658명, 인천 10,210명, 광주 1,188명, 대전 8,393명, 울산 1,024명, 경기 34,482명, 강원 3,310명, 충북 7,362명, 충남 16,338명, 전북 5,383명, 전남 1,190명, 경북 3,060명, 경남 1,668명, 제주 226명이다. 경기, 인천, 서울, 충남, 대전 지역에 많이 살고 있다. [정복규의 성씨순례]

 

 

[요약정보]

본관명 한산(韓山)
성씨명 이씨(李氏)
본관소재지 충청남도(忠淸南道) 서천군(舒川郡)
본관이칭
시조명 이윤경(李允卿):호장공계(戶長公系)

[상세내용]

본관 연혁

한산(韓山)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본래 백제 때에는 마산현(馬山縣), 우두성(牛頭城)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가림군(嘉林郡: 林泉)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한산으로 고쳤다. 1175년(명종 5) 감무(監務)를 두었고 홍산(鴻山)을 겸임하였고, 후에 지한주사(知韓州事)로 승격되었다가 1413년(태종 13) 한산군(韓山郡)이 되었다. 1895년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 한산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충청남도 한산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서천군에 병합되어 지금은 한산면으로 남아 있다.

성씨의 역사

한산이씨(韓山李氏)는 시조를 달리하는 두 파가 있다.
한산이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호장공계(戶長公系)의 시조는 고려 숙종 때 권지호장(權知戶長)에 오른 이윤경(李允卿)이다. 이윤경은 한산 지방에 토착하여 세거해온 호족(豪族)의 후예로 고려 중엽에 향리(鄕吏)의 우두머리인 호장(戶長)을 역임했고, 5대에 걸쳐 호장직을 세습하여 오면서 명문의 기틀을 다졌다.

한편 한산이씨의 중시조는 목은(牧隱) 이색(李穡)이며 그의 아버지가 바로 가정(稼亭)이다. 이곡은 이윤경의 5대손으로 당대의 대문장가이며, 우탁(禹倬) 이동(易東),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와 더불어 경학(經學)의 대가였다. 그는 1320년(충숙왕 7) 문과에 급제하고 원나라 제과(制科)에도 급제하였는데 원의 벼슬로는 중서성좌우사원외랑(中書省左右史員外郞)을, 고려에서는 벼슬이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에 올라 한산군(韓山君)에 봉해졌다. 그의 아들 이색이 1362년 홍건적의 난 때 왕을 호종(扈從)한 공으로 세워 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한산으로 하였다.

 

분적종 및 분파

호장공계(戶長公系):
감찰공파(監察公派)
공무공파(恭武公派)
광목공파(光牧公派)
문열공파(文烈公派)
문혜공파(文惠公派)
순절공파(順節公派)
양도공파(良度公派)
직강공파(直講公派)
진목공파(晉牧公派)
집의공파(執義公派)
총제공파(摠制公派)
판중추공파(判中樞公派)
권지공계(權知公系):
경력공파(經歷公派)
동추공파(同樞公派)
통례공파(通禮公派)
한천군파(韓川君派)
현령공파(縣令公派)

주요 세거지

강원도 회양군 상북면 목곡리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마장리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온동리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봉봉리
충청북도 청원군 북일면 주성리
황해도 해주군 서변면 지동리
황해도 서흥군 용평면 월탄리
황해도 연백군 유곡면 이포리
전라북도 옥구군 성산면 도암리

[참고문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帝系考〉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尹昌鉉, 보명사, 1929)
《韓國人의 姓譜》(삼안문화사, 1986)
《姓氏의 고향》(중앙일보사, 2002)
《한국지명연혁고(韓國地名沿革考)》(權相老, 동국문화사, 1961)

[집필자]

이재옥(李載玉)

[한산이씨(韓山李氏)의 인물들]

이개(李塏) 이거원(李巨源) 이경류(李慶流) 이경백(李慶伯) 이경옥(李敬玉)
이경재(李景在) 이경전(李慶全) 이경직(李耕稙) 이경탁(李慶倬) 이경함(李慶涵)
이경항(李景沆) 이계린(李季疄) 이계전(李季甸) 이곡(李穀) 이공기(李公沂)
이관구(李寬求) 이관연(李觀淵) 이관직(李觀稙) 이광운(李匡運) 이광정(李光靖)
이구(李久) 이규령(李奎齡) 이규식(李奎軾) 이규위(李奎緯) 이균(李均)
이기(李墍) 이기발(李起浡) 이기조(李基祚) 이기중(李箕重) 이기하(李基夏)
이기한(李基漢) 이남규(李南珪) 이노규(李魯奎) 이대직(李大稙) 이덕수(李德洙)
이덕연(李德演) 이덕중(李德重) 이덕형(李德泂) 이도오(李道吾) 이동근(李東根)
이동직(李東稷){1} 이령(李翎){1} 이만직(李萬稷) 이맹균(李孟畇) 이맹진(李孟畛)
이명관(李明觀) 이명구(李命求) 이명의(李明誼) 이명준(李明浚) 이명직(李明稙)
이목(李穆) 이무(李袤) 이문구(李文求) 이문영(李文英) 이민채(李敏采)
이병상(李秉常) 이병성(李秉成) 이병연(李秉淵) 이병운(李秉運) 이병원(李秉遠)
이병태(李秉泰) 이봉(李封) 이봉년(李鳳年) 이빈흥(李賓興) 이사관(李思觀)
이사인(李士仁) 이사제(李思齊) 이사주(李思周) 이사중(李思重) 이사질(李思質)
이사홍(李思弘) 이산보(李山甫) 이산해(李山海) 이상우(李商雨) 이상재(李商在)
이상정(李象靖) 이색(李穡) 이석구(李碩耇) 이선(李䆄) 이선직(李先稷)
이성령(李星齡) 이성연(李聖淵) 이성원(李性源){1} 이성채(李星彩) 이세연(李世演)
이수경(李壽慶) 이수득(李秀得) 이수보(李秀輔) 이수언(李秀彦) 이수일(李秀逸)
이수주(李秀疇) 이숙묘(李叔畝) 이숙복(李叔福) 이숙치(李叔畤) 이순효(李純孝)
이승구(李承九) 이승순(李承純) 이승유(李承游) 이승익(李承益) 이시재(李時在)
이실춘(李實椿) 이양재(李亮載) 이언호(李彦浩) 이여(李畬){1} 이여발(李汝發)
이여절(李汝節) 이연년(李延年){2} 이영목(李永穆) 이영은(李永垠) 이예견(李禮堅)
이용규(李容珪) 이용식(李容植) 이용직(李容稙) 이우(李㙖) 이우규(李祐珪)
이우재(李愚在) 이우화(李宇和) 이운(李耘) 이운영(李運永) 이유청(李惟淸)
이윤영(李胤永) 이의록(李宜祿) 이의배(李義培) 이이장(李彝章) 이인빈(李寅賓)
이인직(李人稙) 이임(李稔) 이자(李耔) 이장찬(李章贊) 이재규(李在珪)
이정(李濎) 이정기(李廷虁) 이정직(李貞稙) 이정호(李挺豪) 이종덕(李鍾德)
이종병(李宗秉) 이종선(李種善) 이종직(李宗稙) 이종학(李鍾學) 이중덕(李重德)
이증(李增){1} 이지명(李知命) 이지번(李之蕃){2} 이지함(李之菡) 이진구(李鎭求)
이집(李潗) 이창원(李昌源) 이철경(李喆卿) 이청(李淸) 이축(李蓄)
이치(李穉) 이태연(李泰淵) 이태영(李泰永) 이태중(李台重) 이태직(李台稙)
이파(李坡) 이필중(李必重) 이하징(李夏徵) 이항직(李恒稙) 이해우(李海愚)
이해응(李海應) 이해중(李海重) 이해창(李海昌){1} 이행(李涬) 이행원(李行源)
이헌정(李憲靖) 이헌직(李憲稙) 이현영(李顯英) 이현정(李顯靖) 이현중(李顯重)
이혜구(李惠求) 이홍연(李弘淵) 이홍재(李洪載) 이홍적(李弘迪) 이홍조(李弘祚)
이홍직(李弘稙) 이효근(李孝根) 이후(李厚) 이후정(李後靖) 이훈(李塤)
이훈구(李勳求) 이휘조(李徽祚) 이흡(李洽) 이흥록(李興祿) 이흥발(李興浡)
이희갑(李羲甲) 이희관(李羲觀) 이희봉(李羲鳳) 이희연(李羲淵) 이희준(李羲準)
이희평(李羲平) 한산이씨(韓山李氏)      

[한산이씨(韓山李氏)의 과거 및 취재 합격자]

고려문과

이곡(李穀) 이당모(李唐髦) 이맹균(李孟畇) 이맹준(李孟畯) 이색(李穡)
이종선(李種善) 이종학(李種學) 이지명(李知命)    

고려사마

이곡(李穀) 이맹준(李孟畯) 이색(李穡)    

무과

이경(李烱) 이경준(李慶濬) 이계춘(李繼春) 이공걸(李公傑) 이관수(李觀洙)
이관수(李觀洙) 이관연(李觀淵) 이관해(李觀海) 이굉재(李宏榟) 이규정(李奎炡)
이근수(李根壽) 이기복(李基福) 이기석(李基錫) 이기재(李基在) 이기징(李基徵)
이끝세(李唜立) 이낙재(李洛在) 이대손(李大孫) 이대창(李大昌) 이덕무(李德武)
이동욱(李東煜) 이두방(李斗芳) 이두양(李斗陽) 이두진(李斗辰) 이두형(李斗馨)
이두흥(李斗興) 이득망(李得望) 이득분(李得芬) 이량(李樑) 이만성(李萬成)
이면규(李冕珪) 이백령(李栢齡) 이병성(李秉性) 이빈(李馪) 이사남(李士男)
이사순(李思順) 이사술(李思述) 이사신(李思愼) 이사언(李思彦) 이사주(李思周)
이사해(李思海) 이상규(李尙珪) 이상덕(李尙德) 이상우(李祥佑) 이상함(李尙馠)
이섭(李涉) 이성립(李成立) 이성상(李晟相) 이세무(李世茂) 이세무(李世茂)
이세웅(李世雄) 이세창(李世昌) 이순(李蕣) 이승묵(李承默) 이승범(李承范)
이승연(李承淵) 이승하(李承河) 이승해(李承海) 이약묵(李若默) 이언규(李彦規)
이여발(李汝發) 이영기(李英耆) 이영록(李永祿) 이우원(李雨元) 이우원(李雨元)
이우춘(李遇春) 이우춘(李遇春) 이운기(李雲紀) 이운달(李雲達) 이운복(李雲復)
이운하(李雲夏) 이웅(李雄) 이원식(李源植) 이원의(李元儀) 이원지(李元墀)
이응남(李應男) 이응준(李應峻) 이의명(李義明) 이의명(李義明) 이의명(李義明)
이의즙(李義濈) 이익로(李益老) 이익신(李益臣) 이익해(李翼海) 이인번(李仁蕃)
이인직(李仁稙) 이장명(李長蓂) 이재복(李載福) 이정(李𤐣) 이정규(李廷珪)
이정규(李廷珪) 이정량(李廷樑) 이정번(李廷蕃) 이정생(李貞生) 이정일(李挺一)
이제(李梯) 이제명(李濟命) 이중석(李重錫) 이중신(李重信) 이중태(李重泰)
이진(李蓁) 이진심(李進心) 이진욱(李震郁) 이천화(李千華) 이춘삼(李春森)
이춘영(李春英) 이충립(李忠立) 이태화(李泰華) 이하욱(李夏煜) 이학기(李鶴耆)
이해범(李海範) 이해우(李海愚) 이헌(李瀗) 이형만(李馨萬) 이형원(李馨遠)
이환(李瓛) 이후번(李厚蕃) 이희명(李羲蓂) 이희본(李羲本) 이희오(李羲午)
이희조(李希祖)        

문과

이각(李殼) 이개(李塏) 이개(李塏) 이거원(李巨源) 이겸재(李謙在)
이경명(李景溟) 이경명(李景溟) 이경백(李慶伯) 이경부(李敬溥) 이경석(李慶錫)
이경식(李庚植) 이경식(李景植) 이경식(李耕植) 이경옥(李敬玉) 이경유(李慶流)
이경재(李景在) 이경재(李經在) 이경전(李慶全) 이경탁(李慶倬) 이경함(李慶涵)
이계원(李季畹) 이계전(李季甸) 이광재(李光載) 이광정(李廣貞) 이광직(李光稷)
이구(李久) 이규령(李奎齡) 이규위(李奎緯) 이규채(李奎采) 이균(李均)
이기(李墍) 이기발(李起浡) 이기성(李基聖) 이기조(李基祚) 이남규(李南珪)
이노규(李魯奎) 이대원(李大源) 이대직(李大稙) 이덕수(李德洙) 이덕운(李德運)
이덕중(李德重) 이덕형(李德泂) 이도재(李道在) 이돈우(李敦禹) 이돈욱(李敦煜)
이동근(李東根) 이동우(李東宇) 이동직(李東稷) 이득영(李得永) 이령(李翎)
이만(李滿) 이명로(李明老) 이명언(李明彦) 이명의(李明誼) 이명준(李明浚)
이명직(李明稙) 이무(李袤) 이무(李袤) 이민채(李敏采) 이범화(李範和)
이병구(李秉龜) 이병상(李秉常) 이병태(李秉泰) 이봉(李封) 이봉(李封)
이봉년(李鳳年) 이봉서(李鳳舒) 이사관(李思觀) 이산보(李山甫) 이산해(李山海)
이상재(李尙載) 이상정(李象靖) 이생발(李生浡) 이석재(李碩載) 이선경(李先慶)
이성원(李性源) 이성원(李性源) 이성채(李星彩) 이세연(李世演) 이수경(李壽慶)
이수득(李秀得) 이수언(李秀彦) 이수언(李秀彦) 이수일(李秀逸) 이수철(李秀哲)
이수하(李秀夏) 이숙복(李叔福) 이승고(李承皐) 이승구(李承九) 이승수(李承壽)
이승순(李承純) 이승오(李承五) 이승유(李承游) 이승익(李承益) 이시재(李時在)
이심(李深) 이심도(李審度) 이양식(李養植) 이양재(李亮載) 이언호(李彦浩)
이여(李畬) 이연구(李淵龜) 이연년(李延年) 이영목(李永穆) 이영빈(李英彬)
이영은(李永垠) 이영은(李永垠) 이영은(李永垠) 이예견(李禮堅) 이완(李浣)
이완(李埦) 이용식(李容植) 이용징(李龍徵) 이우(李堣) 이우(李堣)
이우명(李雨明) 이우재(李愚在) 이우채(李羽采) 이우화(李宇和) 이운(李耘)
이운익(李雲翼) 이운익(李雲翼) 이운필(李雲弼) 이원정(李源鼎) 이유룡(李猶龍)
이유청(李惟淸) 이유춘(李囿春) 이윤번(李允蕃) 이의록(李宜祿) 이의채(李毅采)
이이장(李彛章) 이인견(李仁堅) 이인부(李寅溥) 이인빈(李寅賓) 이인채(李寅采)
이자(李滋) 이자(李耔) 이장부(李璋溥) 이적(李𥡦) 이전(李䆄)
이정기(李廷夔) 이정기(李正耆) 이정래(李禎來) 이정억(李禎億) 이정익(李禎翊)
이정재(李鼎在) 이정직(李貞稙) 이정직(李鼎稙) 이제(李穧) 이제해(李濟海)
이종병(李宗秉) 이중(李重) 이증(李增) 이직(李溭) 이집(李潗)
이채(李寀) 이청(李淸) 이출(李秫) 이충직(李忠稙) 이치(李菑)
이태연(李泰淵) 이태영(李泰永) 이태중(李台重) 이택(李澤) 이파(李坡)
이파(李坡) 이필중(李必重) 이하종(李夏宗) 이하종(李夏宗) 이한(李垾)
이한상(李漢相) 이해린(李海隣) 이해중(李海重) 이해중(李海重) 이해창(李海昌)
이행원(李行源) 이헌직(李憲稙) 이현영(李顯永) 이현영(李顯英) 이현정(李顯靖)
이현중(李顯重) 이형덕(李馨德) 이형등(李馨登) 이홍덕(李弘德) 이홍연(李弘淵)
이홍재(李洪載) 이홍적(李弘迪) 이효근(李孝根) 이효문(李孝文) 이효원(李孝源)
이후(李厚) 이휘진(李彙晉) 이흡(李洽) 이흥록(李興祿) 이흥발(李興浡)
이희갑(李羲甲) 이희관(李羲觀) 이희교(李羲敎) 이희백(李希伯) 이희봉(李羲鳳)
이희조(李羲肇) 이희준(李羲準)      

생원시

이각(李殼) 이각순(李珏淳) 이각채(李慤采) 이강로(李絳老) 이거원(李巨源)
이경로(李慶老) 이경만(李慶萬) 이경명(李景溟) 이경재(李景載) 이경함(李慶涵)
이경홍(李慶洪) 이경홍(李景鴻) 이곤(李蔉) 이관재(李觀在) 이광건(李廣健)
이광도(李廣度) 이광복(李廣復) 이광우(李光虞) 이광운(李匡運) 이광직(李光稷)
이광진(李光震) 이교병(李敎秉) 이교재(李敎在) 이구연(李九淵) 이구징(李龜徵)
이국방(李國芳) 이국영(李國英) 이국저(李國著) 이국행(李國荇) 이규(李圭)
이규령(李奎齡) 이규병(李圭秉) 이규부(李奎溥) 이규열(李奎說) 이규채(李奎采)
이규항(李奎恒) 이규회(李奎會) 이긍규(李兢珪) 이긍순(李肯淳) 이기룡(李基龍)
이기발(李起浡) 이기성(李紀城) 이기영(李耆永) 이기옥(李基沃) 이기재(李麒載)
이기중(李箕重) 이기직(李基稷) 이노재(李魯在) 이달회(李達會) 이대재(李大在)
이덕규(李德珪) 이덕렴(李德濂) 이덕령(李德齡) 이덕사(李德泗) 이덕유(李德游)
이덕윤(李德潤) 이덕중(李德重) 이도근(李道根) 이도영(李道永) 이두병(李斗秉)
이두장(李斗章) 이득영(李得永) 이만경(李萬慶) 이만년(李萬年) 이만영(李晩永)
이만재(李𡩄在) 이명겸(李明謙) 이명직(李命) 이명준(李明浚) 이명채(李明采)
이명필(李明弼) 이명항(李明恒) 이문주(李文胄) 이민로(李敏老) 이민직(李敏稙)
이병건(李秉健) 이병상(李秉常) 이병연(李秉淵) 이병정(李秉鼎) 이병태(李秉泰)
이병한(李秉翰) 이병항(李秉恒) 이복운(李復運) 이봉년(李鳳年) 이봉채(李鳳采)
이봉채(李鳳采) 이사길(李思吉) 이사정(李師靖) 이사정(李思正) 이사중(李思重)
이사질(李思質) 이사철(李師哲) 이산보(李山甫) 이산해(李山海) 이상규(李相珪)
이상년(李尙年) 이상협(李祥恊) 이생발(李生浡) 이서(李湑) 이서규(李序珪)
이석(李) 이석근(李石根) 이석상(李碩相) 이선(李墠) 이선장(李善長)
이선재(李善在) 이선재(李璿在) 이성로(李星老) 이성채(李星彩) 이세연(李世演)
이수경(李壽慶) 이수남(李守男) 이수득(李秀得) 이수발(李秀發) 이수실(李秀實)
이수억(李秀億) 이수언(李秀彦) 이수연(李修演) 이수응(李秀應) 이수절(李秀節)
이수하(李秀夏) 이수함(李壽涵) 이수해(李秀楷) 이수현(李秀賢) 이숙재(李䎘在)
이술재(李述在) 이승경(李承敬) 이승로(李承老) 이승룡(李承龍) 이승부(李升溥)
이승설(李承卨) 이승정(李承靖) 이승찬(李承瓚) 이승천(李承天) 이승철(李承澈)
이승휴(李承休) 이시영(李始永) 이시재(李時在) 이신병(李臣秉) 이심구(李審榘)
이심열(李審說) 이양서(李陽瑞) 이양화(李養和) 이여(李畬) 이여적(李汝迪)
이영년(李永年) 이영운(李永運) 이영원(李永遠) 이온(李薀) 이옹(李蓊)
이완(李浣) 이완(李埦) 이용서(李龍舒) 이용징(李龍徵) 이용화(李用和)
이우규(李禹珪) 이우명(李宇溟) 이우식(李禹植) 이운(李蕓) 이운상(李雲商)
이원장(李源長) 이유청(李惟淸) 이융(李瀜) 이응재(李應在) 이응직(李應稷)
이응해(李應海) 이이장(李彛章) 이이헌(李彛憲) 이인견(李仁堅) 이인채(李寅采)
이인화(李寅和) 이일부(李馹敷) 이자(李耔) 이장부(李章溥) 이재(李載)
이재운(李載運) 이재희(李載熙) 이정기(李鼎基) 이정래(李禎來) 이정병(李正秉)
이정석(李禎錫) 이정시(李挺時) 이정익(李禎翊) 이정재(李定在) 이정한(李鼎漢)
이정호(李挺豪) 이제(李穧) 이제겸(李濟謙) 이제병(李濟秉) 이제익(李濟翊)
이제항(李齊沆) 이제헌(李濟憲) 이주영(李胄永) 이준(李浚) 이준(李濬)
이준재(李準在) 이준재(李駿在) 이준재(李駿載) 이지무(李之茂) 이지화(李趾和)
이지훈(李之薰) 이진(李津) 이진근(李震根) 이집(李潗) 이창령(李昌齡)
이창재(李昌在) 이창직(李昌稷) 이철기(李哲耆) 이철항(李喆恒) 이최재(李㝡在)
이출(李秫) 이침(李琛) 이택(李澤) 이필상(李必相) 이필천(李必天)
이하구(李夏龜) 이하규(李夏圭) 이학년(李鶴年) 이학재(李學在) 이한(李澣)
이항무(李恒茂) 이해경(李海慶) 이해관(李海寬) 이해령(李海寧) 이해민(李海珉)
이해응(李海應) 이해정(李海晶) 이해존(李海存) 이해진(李海晉) 이헌(李)
이헌재(李憲在) 이헌재(李獻在) 이현정(李顯靖) 이형재(李衡在) 이형직(李亨稷)
이혼(李混) 이홍눌(李弘訥) 이홍덕(李弘德) 이홍연(李弘淵) 이홍재(李洪載)
이확(李穫) 이환(李寏) 이효근(李孝根) 이흠직(李欽稷) 이흡(李洽)
이흥규(李興珪) 이흥발(李興浡) 이흥재(李興在) 이흥중(李興重) 이흥직(李興稷)
이희관(李羲觀) 이희기(李羲耆) 이희도(李羲道) 이희두(李羲斗) 이희만(李羲萬)
이희문(李羲文) 이희백(李希伯) 이희순(李羲淳) 이희승(李羲升) 이희연(李羲淵)
이희찬(李羲贊)        

음관

이강재(李綱在) 이강재(李綱在) 이강중(李綱重) 이겸재(李謙在) 이경건(李慶健)
이경로(李敬老) 이경로(李景魯) 이경로(李景魯) 이경부(李敬溥) 이경재(李景在)
이경재(李經在) 이관재(李觀在) 이관재(李觀在) 이광도(李廣度) 이광도(李廣度)
이광우(李廣愚) 이광재(李光載) 이광정(李廣貞) 이규병(李圭秉) 이규병(李圭秉)
이기재(李沂在) 이기재(李沂在) 이노규(李魯奎) 이녹재(李祿在) 이녹재(李祿在)
이돈우(李敦禹) 이동교(李東喬) 이동교(李東喬) 이면재(李𡩄在) 이면재(李𡩄在)
이명로(李明老) 이민기(李民耆) 이민기(李民耆) 이민병(李民秉) 이병운(李秉運)
이병운(李秉運) 이병원(李秉遠) 이병원(李秉遠) 이사재(李師在) 이상재(李常在)
이상재(李常在) 이수악(李秀岳) 이수악(李秀岳) 이승겸(李承謙) 이승겸(李承謙)
이승경(李承敬) 이승경(李承敬) 이승고(李承皐) 이승교(李承喬) 이승교(李承喬)
이승구(李承九) 이승기(李承紀) 이승기(李承紀) 이승락(李承洛) 이승락(李承洛)
이승로(李承老) 이승로(李承老) 이승백(李承白) 이승백(李承白) 이승서(李承緖)
이승서(李承緖) 이승순(李承純) 이승오(李承五) 이승우(李承愚) 이승우(李承祐)
이승원(李承元) 이승위(李承緯) 이승위(李承緯) 이승유(李承游) 이승익(李承益)
이승정(李承靖) 이승정(李承靖) 이승조(李承祖) 이승조(李承祖) 이시영(李始永)
이시영(李始永) 이시재(李時在) 이신병(李臣秉) 이신병(李臣秉) 이용식(李容禃)
이용재(李龍在) 이용재(李龍在) 이용재(李容在) 이용재(李容在) 이운승(李雲承)
이운승(李雲承) 이운익(李雲翼) 이운필(李雲弼) 이원영(李元永) 이원정(李源鼎)
이위재(李渭在) 이응정(李應鼎) 이익재(李益在) 이익재(李益在) 이익재(李翼在)
이인재(李寅在) 이인재(李寅在) 이장부(李璋溥) 이장부(李章溥) 이장부(李章溥)
이재현(李在顯) 이재현(李在顯) 이재호(李在灝) 이정기(李廷耆) 이정기(李廷耆)
이정병(李正秉) 이정병(李正秉) 이정재(李定在) 이정재(李定在) 이정재(李鼎在)
이정직(李定稙) 이제헌(李濟憲) 이제헌(李濟憲) 이조영(李肇永) 이조영(李肇永)
이종병(李宗秉) 이종직(李宗稙) 이주로(李周老) 이준재(李駿在) 이준재(李駿在)
이진재(李晉在) 이진재(李晉在) 이창재(李昌在) 이창재(李昌在) 이최재(李㝡在)
이최재(李㝡在) 이풍재(李豊在) 이풍재(李豊在) 이학재(李學在) 이학재(李學在)
이학재(李鶴在) 이학재(李鶴在) 이해경(李海慶) 이해로(李海魯) 이해로(李海魯)
이해존(李海存) 이해존(李海存) 이헌부(李憲溥) 이헌부(李憲溥) 이헌식(李憲禃)
이헌재(李憲在) 이헌재(李憲在) 이현기(李賢耆) 이현기(李賢耆) 이현재(李顯在)
이형보(李亨甫) 이형보(李亨輔) 이형재(李衡在) 이형재(李衡在) 이회재(李會在)
이휘영(李輝永) 이휘영(李輝永) 이희도(李羲道) 이희도(李羲道) 이희두(李羲斗)
이희두(李羲斗) 이희서(李羲書) 이희서(李羲書) 이희석(李羲碩) 이희석(李羲碩)
이희승(李羲升) 이희승(李羲升) 이희온(李羲溫) 이희찬(李羲贊) 이희찬(李羲贊)
이희평(李羲平) 이희평(李羲平) 이희현(李羲玄)    

음양과

이수(李穟) 이최연(李最演)      

의과

이곤(李坤) 이영남(李英男) 이지손(李志孫)    

진사시

이■(李■) 이■정(李■靖) 이가적(李嘉迪) 이강재(李綱在) 이거원(李巨源)
이건병(李建秉) 이건영(李建永) 이경(李) 이경구(李慶求) 이경로(李敬老)
이경로(李景魯) 이경류(李慶流) 이경백(李慶伯) 이경신(李慶伸) 이경전(李慶全)
이경직(李庚稙) 이계금(李繼金) 이관(李寬) 이관성(李觀城) 이관직(李觀稙)
이광교(李廣敎) 이광년(李光年) 이구(李久) 이구영(李耉永) 이구징(李龜徵)
이국관(李國觀) 이국신(李國藎) 이국형(李國蘅) 이규령(李奎齡) 이규채(李奎采)
이극겸(李克謙) 이극함(李克諴) 이긍직(李兢稙) 이기방(李基邦) 이기성(李基成)
이기성(李紀城) 이기원(李起源) 이기재(李沂在) 이기재(李淇在) 이기조(李基祚)
이기중(李箕重) 이기현(李基顯) 이남년(李南年) 이누(李耨) 이대원(李大源)
이대춘(李大春) 이덕규(李悳珪) 이덕수(李德洙) 이덕채(李德采) 이덕형(李德泂)
이도재(李道在) 이도중(李度重) 이동교(李東喬) 이동근(李東根) 이동직(李東稷)
이만직(李萬稷) 이면직(李冕稙) 이명검(李命鈐) 이명관(李明觀) 이명구(李命求)
이명규(李明珪) 이명복(李明復) 이명승(李明升) 이명언(李明彦) 이명연(李明淵)
이명의(李明誼) 이명직(李命稙) 이명항(李明恒) 이목영(李牧永) 이문복(李文福)
이문영(李文英) 이문재(李文載) 이병(李秉) 이병관(李秉觀) 이병성(李秉成)
이병승(李秉升) 이병직(李秉直) 이병항(李秉恒) 이봉기(李鳳耆) 이봉식(李鳳植)
이봉화(李鳳和) 이부(李阜) 이부학(李傅學) 이사관(李思觀) 이사백(李思白)
이사빈(李思彬) 이사신(李思信) 이사엄(李思儼) 이사욱(李思勖) 이사윤(李思胤)
이사재(李師在) 이사적(李思迪) 이사증(李思曾) 이사침(李思沈) 이사흥(李思興)
이산로(李山老) 이산해(李山海) 이상규(李尙珪) 이상빈(李尙賓) 이상우(李商雨)
이서영(李舒永) 이석규(李錫珪) 이석무(李碩茂) 이석빈(李碩賓) 이석재(李碩載)
이선경(李先慶) 이선규(李宣珪) 이선기(李先耆) 이선억(李善億) 이성령(李星齡)
이성로(李聖老) 이성원(李性源) 이세량(李世樑) 이세유(李世瑜) 이수무(李秀茂)
이수백(李秀白) 이수악(李秀岳) 이수원(李秀元) 이수헌(李秀憲) 이숭년(李嵩年)
이숭조(李崇祚) 이승겸(李承謙) 이승구(李承九) 이승규(李升珪) 이승기(李承耆)
이승락(李承洛) 이승령(李承齡) 이승백(李承白) 이승서(李承緖) 이승순(李承淳)
이승용(李承用) 이승우(李承愚) 이승원(李承元) 이승위(李承緯) 이승익(李承益)
이승정(李承正) 이승태(李承泰) 이시만(李時曼) 이심도(李審度) 이심행(李審行)
이약래(李若來) 이양수(李養粹) 이언홍(李彦洪) 이여수(李汝秀) 이연년(李延年)
이영규(李永圭) 이영규(李英珪) 이영령(李永齡) 이영부(李潁溥) 이영진(李榮震)
이영홍(李永鴻) 이완규(李完珪) 이완직(李完稙) 이용구(李龍求) 이용규(李龍珪)
이용규(李容珪) 이용재(李龍在) 이용재(李容在) 이용직(李龍稙) 이용진(李龍袗)
이우숙(李雨肅) 이우재(李愚在) 이운(李耘) 이운승(李雲承) 이운영(李運永)
이운필(李雲弼) 이운한(李雲漢) 이원기(李元夔) 이원성(李源成) 이원양(李源陽)
이원영(李元永) 이원재(李源載) 이원직(李元稙) 이원창(李源昌) 이유청(李惟淸)
이육(李淯) 이윤(李稐) 이윤번(李允蕃) 이응규(李應珪) 이의록(李宜祿)
이의병(李懿秉) 이의채(李毅采) 이의홍(李儀鴻) 이익(李塧) 이익년(李益年)
이익로(李翊老) 이익영(李翊永) 이익재(李翼在) 이인부(李寅溥) 이인재(李寅在)
이임(李稔) 이자(李耔) 이장(李㙊) 이장규(李章珪) 이장연(李長演)
이장직(李章稙) 이장직(李長稙) 이장채(李章采) 이재망(李載望) 이재성(李載聲)
이재현(李在顯) 이재호(李在灝) 이적(李積) 이정(李) 이정(李濎)
이정기(李廷夔) 이정기(李鼎基) 이정시(李挺時) 이정재(李鼎在) 이정철(李廷喆)
이정홍(李挺鴻) 이제(李穧) 이제항(李齊沆) 이조영(李肇永) 이조해(李朝海)
이종해(李宗海) 이주(李霌) 이주명(李柱溟) 이주원(李柱元) 이준부(李準溥)
이증(李增) 이지(李至) 이직부(李直溥) 이진(李稹) 이진(李稹)
이창직(李昌稙) 이척(李倜) 이천목(李天穆) 이청(李淸) 이출(李秫)
이취(李就) 이치(李穉) 이태연(李泰淵) 이태중(李台重) 이태직(李泰稙)
이택(李澤) 이필구(李弼求) 이필중(李必重) 이필진(李必晉) 이하범(李夏範)
이하석(李夏錫) 이하영(李河永) 이하징(李夏徵) 이하택(李夏宅) 이학규(李鶴珪)
이학부(李學溥) 이학영(李學永) 이학재(李鶴在) 이항건(李恒健) 이해(李荄)
이해로(李海老) 이해로(李海魯) 이해창(李海昌) 이헌부(李憲溥) 이현기(李賢耆)
이현중(李顯重) 이협(李浹) 이형부(李馨溥) 이형운(李亨運) 이형재(李衡在)
이호직(李浩稙) 이혼(李渾) 이화(李和) 이훈직(李勳稙) 이휘규(李徽珪)
이휘진(李彙晉) 이흥규(李興珪) 이흥운(李興運) 이희경(李羲敬) 이희곤(李羲坤)
이희년(李喜年) 이희서(李羲書) 이희석(李羲碩) 이희선(李羲先) 이희온(李羲溫)
이희운(李羲雲) 이희익(李羲翼) 이희정(李希程) 이희준(李羲駿) 이희창(李羲昌)
이희채(李羲采) 이희평(李羲平) 이희현(李羲玄)

[참고1]. 한산이씨세보(판중추공파)

 

한산이씨(韓山李氏) 중 판중추공파(判中樞公派)의 족보이다. 판중추공파는 이색(李穡)의 장남 이종덕(李種德)의 4남인 이맹진(李孟畛)을 파조(派祖)로 하는 파이다. 세보(世譜)의 작성 연대는 알 수 없다. 다만 이상정(李象靖:대산선생)에게 이조판서를 추증해준 고종(高宗)을 금상(今上)이라고 표현하고 있으므로 고종 대에 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구보(舊譜)의 쪽수를 참고하라는 표현이 있는 것으로 보아, 구보를 기준으로 해서 작성되었다는 사실도 알려준다. 세보에 기록된 인물 중 특히 이상정과 이광정(李光靖)의 후손들에 대해서 자세히 적혀 있다. 이황 이후 영남 학파를 중흥시킨 이상정 선생 형제분의 자손들을 중심으로 해서 작성되었다.

 

+++

 

참고: 

『고종실록(高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상지즉조32년갑오식년사마방목(上之卽祚三十二年甲午式年司馬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장서각[B13LB-40])

조선문과방목 http://www.koreaa2z.com/munkw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