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29

28世韓山李씨盛粲(27代孫 목은22세 牧隱21代孫)

14-[9] (28世) 27代孫(목은22세,牧隱21代孫) 이성찬 (李盛粲, 1927년12월5일~2018년4월13일, 동작동 국립현충원)은 6.25참전상이국가유공자, 경성원예학교를 나와 경무대 조경담당관과 초대 창경원 식물원장(初代 昌慶園 植物園長)과 전주농림학교에서 원예를 가르쳤으며 식물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 박사의 조교를 지냈다. 호는 방원(芳園)이다. 부인 전주이씨 (全州 李氏, 1932년6월10일~, 수필가), 외아들. [방원 이성찬 소평전] 참고: [방원선생 친구분 시리즈 1] 방원 이성찬 선생과 우촌 이종익 선생 [방원선생 친구분 시리즈 2] 방원 이성찬 선생과 이영노 박사 [방원선생 친구분 시리즈 3] 방원 이성찬 선생과 운초 정영호 선생 [방원선생 친구분 시리즈 5] 방원 이성찬 선생과 전병..

直系譜 2020.03.17

27世韓山李씨成求(26代孫 목은21세 牧隱20代孫)

13-[8] (27世) 26代孫(목은21세,牧隱20代孫) 이성구 (李成求, 1908년9월18일~1981년11월23일, 화장)는 구한말 농상공부 금광국 기수를 지내던 애국지사 이철규의 2남중 장남으로 경기도 수원군 동탄면 석우리에서 태어나 생모 영일정씨는 산후조리가 잘못되어 1살에 돌아가시고 7살에 조부가 독살당하고 11살의 나이에 일본헌병에게 부친이 참살당하는 변을 당하여 천애고아가 되었습니다. 그 후 새로생긴 수원태장보통학교와 수원고등농림학교(해방후 서울농대와 병합)를 나와 만주국 흥농부 미곡검사관(滿洲國 興農部 米穀檢査官)을 지냈으며 독립군에게 군자금을 조달한 독립지사였습니다. 부인은 순창조씨(淳昌 趙氏, 1909년2월7일~1975년8월9일, 화장)이며 슬하에 해방후 첫 창경원 식물원장을 지내는 외아..

直系譜 2020.03.17

26世韓山李씨喆珪(25代孫 목은20세 牧隱19代孫)

12-[7] (26世) 25代孫(목은20세,牧隱19代孫) 이철규(李喆珪, 丁亥1887년11월22일~己未1919년10월6일, 수원 동탄면 석우리)는 성우공 이명직의 3남중 장남으로 태어났습니다. 1907년 농상공부 광상조사기수교습소를 수업하고 대한제국 농상공부 금광국 기수(農商工部 金鑛局 技手)로서 해외 열강의 조선 잠식이 시작되던 그 혼란기에 조선의 금광등을 관리 하던 중책을 맡고 노심초사 했고 1914년 평안북도 희천군 동면 면장을 지냈다. 1916년 충청북도 청주군 노은면 문성금광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1919년 고종죽음에 의문을 제기하다 일제에 부친 이명직과 4년 사이로 참살당한 애국지사였습니다. 부인 영일 정씨(迎日 鄭氏) 사이에서는 만주국 농림국 미곡검사관을 지낸 장남 이성구 와 밀양 박씨(密陽..

直系譜 2020.03.17

25世韓山李씨(性祐公)命稙(24代孫 목은19세 牧隱18代孫)

https://youtu.be/7-qAlQQM_rU?si=2ikjr2YX8slr4TQ_ [한산이씨 27] 韓山李氏 25세 궁내부특진관(宮內府特進官) 성우공(性祐公) 이명직(李命稙)한산이씨 25세로 호장공 이윤경 선조님의 24대손이자 중시조 한산부원군 문정공 목은 이색 선조님의 목은18대손으로 묵은19세인 제 고조부인 궁내부특진관 성우공 #이명직 선조님에 대해서 알아www.youtube.com이명직 대감의 네째 누님은 평산신씨 인당 신영균과 혼인하였습니다. 매형 인당 신영균(1833-1922)은 진안현감, 청안현감을 지냈습니다. 1894년 김옥균과 김홍집 등이 갑신정변을 일으키자 100명의 무사로 창의계를 조직하여 3일만에 갑신정변을 집압하였습니다. 김홍집등은 갑신정변이 3일천하로 실패하자 일본으로 망명하..

直系譜 2020.03.16

24世韓山李씨承台(23代孫 목은18세 牧隱17代孫)

10-[5] (24世) 23代孫(목은18세,牧隱17代孫) 이승태(李承台, 묘지: 수원 동탄면 석우리, 1832년10월25일~1924년2월24일)는 안성 성은리 원기의 5째 아들로 아들이 없는 동탄 석우리 이원효(필재)에게 양자(외아들)를 왔습니다. 부인은 여주 이씨(驪州 李氏)와 청주 한씨(淸州 韓氏)이고 슬하에 5남 6녀를 두어 충직, 송직, 만직 3 아들을 일가 후손없는 집안에 양자를 보냈고 첫째 명직과 막내 성직을 키웠습니다. 호는 오산(梧山)이고 고종(高宗) 24년(1887)에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와 혜민원주사(惠民院主事,고종 39년 임인 1902년8월6일)를 지냈습니다. [생부 이원기(李源基, 묘지: 안성군 원곡면 성은리 산14-1)]. 참고: 안성 성은리 원기 할아버지 성묘 2015년

直系譜 2020.03.16

23世韓山李씨弼在(22代孫 목은17세 牧隱16代孫)

9-[4] (23世) 22代孫(목은17세,牧隱16代孫) 이원효 또는 이필재(李源孝 또는 李弼在, 1815년9월7일~1887년12월24일, 묘지: 水原茂台洞子坐)는 이원재의 외아들로 문과(文科) 첨정(僉正)을 지냈습니다. 부인은 경주 정씨(慶州 鄭氏)로 슬하에 후손이 없어 이윤경의 15代孫(목은10세,牧隱9代孫)으로 태인현감 이덕기(李德沂)의 장자 이중연 (李重淵)의 후손 이원기(李源基, 묘지: 안성군 원곡면 성은리 산14-1, 이의재李懿載의 2남중 차남)의 5남3녀중 5남 이승태(李承台)를 양자로 받아 대를 이었습니다. 이원기(李源基)

直系譜 2020.03.16

22世韓山李씨原載(21代孫 목은16세 牧隱15代孫)

8-[3] (22世) 21代孫(목은16세,牧隱15代孫) 이원재(李原載, 1793정조계축년2월3일~1850경술년3월25일, 묘지: 水原東北面石隅降基子坐)는 연산군수 제직중 사고사 하여 자손을 두지 못한 동보 이규첨에게 양자를 오셨습니다. 생부는 판중추공파(判中樞公派) 이규욱(李奎稶)입니다. 구한말 애국지사 이상재 선생과 같은 항렬입니다. 슬하에 아들 이원효 또는 이필재 (李源孝 또는 李弼在)를 두었으나 손주를 보지못해 안성군 원곡면 성은리 이의재 (아들 이원기) 손주 이승태를 양손자로 받아 손을 이었습니다. 벼슬은 문과(文科) 정언(正言), 절충장군 (折衝將軍)에 이르렀고 부인은 여흥 민씨(驪興 閔氏, 묘지: 시흥소박산)입니다. [[이의재(李懿載, 묘지: 묘지: 안성군 원곡면 성은리 태봉하갑좌, 이규동李奎..

直系譜 2020.03.16

21世韓山李씨奎瞻(20代孫 목은15세 牧隱14代孫)

7-[2] (21世) 20代孫(목은15세,牧隱14代孫) 이규첨(李奎瞻, 1741영조신유년~1802순조임술년7월14일, 묘지: 東道羅之亥坐)은 중술(仲述) 이사목 (李思牧)의 1남4녀중 외아들로 자는 동보(東甫)입니다. 벼슬은 연산(連山)郡守를 지냈으며, 부인은 광산 김씨 (光山 金氏)입니다. 순조실록 4권, 2년(1802 임술 / 청 가경(嘉慶) 7년) 7월 20일(무자) 3번째기사에, " 【제목】충청 감사가 연산현의 백성이 본관을 칼로 찔러 죽인 일을 아뢰다. 【보고자】김양수 【출판일】1795년5월23일 【내용】충청 감사 조석중(曹錫中)이 연산현(連山縣)의 백성 전호길(全好吉)이 본관(本官) 이규첨(李奎瞻)을 칼로 찔러 죽이고 전호길도 또한 곧 바로 쓰러져 죽었으니 관아(官衙)에 있는 하속(下屬)들을 ..

直系譜 2020.03.16

20世韓山李씨思牧(19代孫 목은14세 牧隱13代孫)

6-[1] (20世) 19代孫(목은14세,牧隱13代孫) 이사목(李思牧, 1693숙종계유년11월17일~1775영조을미년10월5일, 묘지: 始興시흥 黔之山금지산)은 사범(士範) 이수해(李秀楷)의 3남1녀중 차남으로 자는 중술(仲述)입니다. 벼슬은 통덕랑(通德郞)을 시작으로, 부호군(副護軍), 승지(承旨), 인동부사(仁同府使 1723), 오위장(五衛將 1724)을 거처 종2품 상주영장(尙州營將 1725)에 이르렀습니다. 부인은 안동 권씨(安東 權氏)와 죽산 안씨(竹山 安氏)입니다. 슬하에 자식은 1남4녀를 두었고 외아들 이규첨은 연산군수를 지내다 업무중 사고를 당하여 자손을 남기지 못하고 죽었습니다. 하여 판중추공파(判中樞公派, 참고1) 이규욱(李奎稶)의 아들 이원재 (李原載)를 양손자로 받았습니다. 양손자 ..

直系譜 2020.03.16

19世韓山李씨秀楷(18代孫 목은13세 牧隱12代孫)

5-(19世) 18代孫(목은13세,牧隱12代孫) 이수해(李秀楷, 1679숙종기미년4월2일~1756영조을유년2월21일)는 우경(虞卿) 이창직 (李昌稷)의 3남중 3남으로 자는 사범(士範)입니다. 부인은 창원 황씨(昌原 黃氏)이고 슬하에 3남1녀를 두었으며 차남이 상주영장을 지낸 중술(仲述) 이사목입니다. 벼슬은 정랑(正郞)을 시작으로 임실현감(任實縣監)과 신녕현감(新寧縣監, 1727~1731) 그리고 통훈대부를 거처 종2품 병마절도사에 이르렀습니다. [[이수열(李秀烈, 묘지: 안성군 금광 사흥리 석암동, 이흠직李欽稷의 4남3녀중 차남)]] 이수열(李秀烈)

直系譜 2020.03.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