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29

지운 할아버지의 지폐 – 지운 서화 (遲耘 書畵)

https://youtu.be/3eZRzYTUPC8?si=3-EKV4rYxOH4k7Ow https://youtu.be/LmCSRVkAV3c 지운(芝雲) 김철수(金綴洙, 1893~1986) 선생님 1/25 . 위키백과에 의하면, "김철수(金綴洙, 1893년 ~ 1986년 3월 16일)는 한국의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이다. 조선공산당 3차 집행부 책임비서로 활동했으며, 줄곧 반(反)박헌영 계열에서 활동했었다. 호는 지운(芝雲 혹은 遲耘)이다. . 지운 김철수는 전북 부안 백산에서 태어난 뒤 1912년 젊은이들의 유학을 독려하는 독립지사 성우 이명직 선생이 돌린 사발통문을 보고 감화되어 일본 와세다대학 정치학과에 유학하였고 1915년 9월 7일 이명직 선생이 일제에 독살 당한 소식을 듣고 독립운동에 투신 19..

백선엽 백인엽 형제

어린 시절 원예 농장을 하던 부친은 용산 중고 교정 조경을 하기도 했는데 백선엽 백인엽 형제가 하던 인천 선인 학교 조경도 했는데 . 백씨형제가 얼렁뚱땅 조경 비용을 안 줘서 부친이 손해를 엄청 보았던 기억이 있다. . 그때 부친의 조경 일에 조막 손이라도 도와볼 요량으로 선인학교를 갔는데 기차 길에서부터 늘어선 선인학교 선도부들이 일반학생들을 이트집 저트집으로 줘패는 모습에 기겁을 했다. . 또 학교에서는 학생들 공부는 안시키고 벽돌을 이고지고 학교건물짖는 2층3층으로 잡부로 학생들을 부리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 . 공사를 맡았던 목수 한분은 칼을 몸에 품고 백선엽이 동생 백인엽에게 찾아가 안주고 땡가 먹으려던 공사비를 일부라도 받았다고 일하던 어른들이 이야기하며 백선엽 백인엽 형제의 악날함을 토로하던..

검은엿 한덩이가 만들어 준 명치대 법대 유학의 꿈

일제시대 명치대 출신 한창달 변호사 . 함경남도 함흥출신으로 김병로, 이인, 허헌 3대 인권 변호사와 더불어 독립지사들이 일경에 체포되어 재판을 받을때마다 수려한 변론으로 수많은 무죄방면을 이끌어낸 한창달(韓昌達, 1896년~1939년) 변호사는 1896년 7월 23일 함경남도 신흥군 가평면 풍상리(豊上里) 307번지에서 서당을 하는 아버지밑에서 여러 형제자매 중에 장남으로 태어났습니다. 인천부 내리(內里) 148번지 외숙부 유승흠(柳承欽)의 집에서 거주하며 서울법대의 전신인 경성법학전수학교 2학년을 다니던 한창달은 1919년 3.1만세운동에 참여하여 3월 5일 서울역에 도착, 서울시내 학생들이 주도한 남대문밖 역전광장 독립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가 현장에서 체포되었습니다. 11월 6일 소위 보안법위반으로..

[방원선생 친구분 시리즈 10] 방원 이성찬 선생과 오지호 화백

삼가 오승우 화백의 영전에 명복을 빕니다. . 김종필 국무총리가 만들었던 한국일요화가회의 지도교수였으며 목우회 회원이었던 원로 서양화가 오승우 화백이 2023년 4월 3일 오후 병환으로 향년 9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는 소식을 이제야 접했습니다. . 1930년 전남 화순에서 태어난 고 오승우 화백은 한국 인상주의의 선구자 오지호(1905∼1982) 화백의 장남이며, 2006년 별세한 고 오승윤(1939~2006) 화백의 형이자 5년전 작고하신 제 부친 방원 이성찬 선생의 친구입니다. 고 오화백의 큰 아들은 서양화가 오병욱 동국대 교수로 제 둘째형과 친구입니다. 둘째 아들은 평창무이예술관장인 오상욱 조각가입니다.3째아들은 저와 동갑으로 서울대 농대를 나와 미국유학하여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로 있는 오병하..

반응형